
모빌리티 시스템 고장 예측 PHM 기술 공동 연구체계 구축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최고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차량의 고장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현대차그룹은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인하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양대학교, GIST, UNIST 등 8개 대학들과 함께 차량 고장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고장 예측 및 관리(PHM)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실을 설립한다고 16일 밝혔다.
PHM 기술은 자율주행과 전동화 시대에 차량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시스템의 복잡성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서다.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사장, 조병훈 차량성능기술센터장 상무, 성대운 차량성능열화리서치랩 연구위원과 오정훈 현대엔지비 대표이사 등 회사 관계자들과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장 교수, 윤병동 기계공학부 교수, 이상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등 참여 대학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공동 연구실을 통해 2027년까지 PHM의 요소 기술과 차량에 탑재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PHM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연구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이들은 차량 시스템별 센싱과 데이터 전략을 수립하고 알고리즘과 프로세서의 효율화, PHM 플랫폼과 인프라 개발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특히 공동 연구실은 차량 시스템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 수집과 예측 알고리즘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PHM 플랫폼을 차량 내 임베디드 시스템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현해 고장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예정이다.
공동 연구실을 총괄하는 현대차·기아는 PHM 기술 검증과 양산 차량 적용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학들과도 유기적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PHM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불어 현대엔지비는 글로벌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최신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며 이를 통해 참여 기관에 올바른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이외에도 현대엔지비는 공동 연구실이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을 독려할 계획이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사장은 “PHM 기술은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며 “국내 대학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강화해 다가올 자율주행 시대를 선도하는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정의선 회장 4년, 현대차그룹 브랜드 가치 대폭 늘었다
- 현대차 인도법인 IPO 시동, 공모가 3만원대…기업가치 최대 25조
- 현대차그룹, 싱가포르와 신에너지 부문 공동 연구
- 현대차그룹 제로원, 디캠프와 우수 스타트업 모집 ‘디데이’ 개최
- 현대차그룹·사우디 Misk 재단, 청년 인재 양성·스마트시티 구축에 맞손
- 현대차그룹, 로보틱스 기술로 군인 재활 돕는다
- 현대차그룹, 자율주행 사업 박차…상용화 위한 부담 여전
- 현대차그룹, ‘해피무브 더 그린 수료식’ 열어
- 부영그룹, 소공동 부영호텔 등 주요 현장 안전점검
- 현대차 인도법인 IPO 흥행…기관투자자 참여로 청약률 200%↑
- 현대차그룹, 부품·물류·철강·금융부문 RE100 가속화
- 현대차·기아, E-FOREST TECH DAY 2024 개최
- 현대차그룹, 국내 최초 건립 루게릭요양병원 지원
-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서울대·포스텍·키스트 공동 연구체계 구축
- 현대차·기아, ‘2024 R&D 협력사 테크 데이’ 개최
- 현대차·기아, 소프티어 부트캠프 5기 모집
- 현대차·기아, 글로벌 통합 탄소배출 정보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