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수급상황 점검 및 비상사태 발생 시 대응 매뉴얼 시행…비축유·가스재고 대비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하마스 최고지도자가 지난 31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피살당하면서 중동정세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윤창현 자원산업정책국장은 이날 대한석유협회에서 유관기관, 업계, 전문가와 함께 긴급 상황점검 회의를 열고 수급현황과 비상대응태세 등을 논의했다. 

업계에서는 이날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중동정세 불안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해 기관과 업계의 대응태세를 점검했으나 현재까지는 석유나 가스의 국내 도입에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와 업계는 현재 7개월간 지속가능한 비축유와 법정 비축의무량을 상회하는 충분한 가스 재고분을 통해 유사시를 대비하고 있다. 앞으로 정부는 중동상황이 격화돼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대응 매뉴얼에 따라 비축유 방출, 수입선 다변화 유도, 대체노선 확보 등 다양한 조치 시행도 검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윤창현 산업통상자원부 자원산업정책국장은 “한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72%, 가스의 32%를 중동에서 공급하고 있는 등 중동의 상황은 국내 에너지 안보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면서 “정부·업계·기관이 선제적으로 비상상황에 대비해 나갈 것이며 유사시에도 국내 에너지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피살사태 직후인 지난 31일 국제유가(브렌트)는 단기적으로 상승하며 전일 대비 2.6% 상승한 배럴당 80.72달러를 기록했으나 지난 1일 다시 1.6% 하락한 배럴당 79.52달러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