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이 딜리버리’ 앱 주문하면 카페·사무실 오가며 음료 배달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로보틱스 기술이 대거 적용된 로봇 친화형 빌딩을 서울 성수동에 선보였다.
현대차그룹은 20일 현대차·기아의 배달 로봇 ‘달이 딜리버리(DAL-e Delivery)’와 현대위아의 ‘주차 로봇’ 등 로봇을 활용한 서비스를 서울 성수동에 있는 ‘팩토리얼 성수’ 빌딩에서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팩토리얼 성수는 서울 성수동에 들어선 이지스 자산운용의 로봇 친화형 빌딩이다. 입주 고객은 달이 딜리버리가 제공하는 음료 배달 서비스와 주차 로봇이 제공하는 자동 주차·출차 서비스, 안면인식 기술 등 최첨단 로보틱스 기술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우선 고객이 모바일 앱을 통해 음료를 주문하면 달이 딜리버리가 지하 1층에 마련된 카페에서 커피 등 음료를 수령해 고객이 있는 사무실이나 회의실까지 배달해준다.
달이 딜리버리는 건물 엘리베이터와 출입문 등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며 스스로 건물의 각 층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 또 통신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최적 경로를 생성하고 빠르게 배송한다.
로봇이 배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카메라와 인공지능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해 스스로 수령 대상자를 인식해 음료를 전달한다. 현대차·기아가 자체 개발한 안면인식 기술은 정확도가 99.9%에 이른다.
수령인이 확인되면 로봇이 스스로 수납 트레이를 앞으로 빼 수령자가 물건을 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대형 트레이를 장착한 달이 딜리버리는 한번에 커피 16잔, 10㎏ 무게의 물품까지 배달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앞으로 투입 대수를 늘리고 택배나 우편물 배송 서비스까지 범위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현대위아는 팩토리얼 성수에서 고객이 업무용 차량을 이용할 때 지정된 장소로 꺼내주거나 이용이 끝났을 때 지정된 장소에 차를 반납하면 자동으로 주차해주는 주차 로봇 서비스를 시행한다.
주차 로봇은 얇고 넓은 형태의 로봇 한 쌍이 차량 하부에 들어가 바퀴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로봇의 두께는 110㎜로, 장착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차량 바퀴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들어올릴 수 있도록 했다.
로봇은 최고 초속 1.2m의 속도로 최대 2.2톤의 차량까지 자동 주차할 수 있다. 현대위아는 주차 로봇 도입과 함께 최대 50대의 주차 로봇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스마트 주차 관제 시스템’도 개발했다.
- 현대자동차-경북대학교, 아임도그너 헌혈센터 개소 ‘맞손’
- 현대차그룹, 작년 그룹사 영업이익 1위…엠디엠 문주현 4개부문 석권
- 장재훈 현대차 사장, 수소위원회 공동의장 취임
-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혁신센터에 한식 레스토랑 '나오' 오픈
- 현대차그룹-숭실대학교, 스마트 산업안전 계약학과 설립 ‘맞손’
- 현대차, ‘2024 아시아 이그제큐티브 팀 서베이’ 6개 부문 1위
- 현대차, 첨단 냉각 소재 활용 파키스탄 캠페인 영상 공개
- 현대차 노조, 7월 6일부터 토요 특근 거부…교섭 재개
- 현대차, 제주 소방관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 기증
- 기아, ‘체험형 전시부스’ 인천공항 오픈
- 현대차·기아 자율주행 배송로봇 횡단보도 건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