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차원 'AI 혁신' 견인 취지...AI 가장 잘 사용하는 나라로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범부처 민·관 인공지능(AI) 지배기구 ‘AI 전략최고위협의회’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통합된 범부처 차원의 AI 협의체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국가 전략 차원에서 AI 혁신을 이끌어야 한다는 공감대로 인해 탄생하게 됐다. 구성은 AI 반도체, 연구개발(R&D), 법·제도, 윤리안전, 디지털 인재 등과 관련 민간 전문가 23명과 과기정통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 방송통신위원회 등 주요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 7명 등 총 32명이다.
민간위원에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유영상 에스케이텔레콤 대표, 김영섭 케이티 대표,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 정상원 이스트소프트 대표, 유희준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임종인 대통령실 사이버 특보, 고환경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정부는 이날 ‘AI G3 도약을 위한AI·디지털 혁신성장 전략’ 보고서를 함께 내고, 세계에서 인공지능을 가장 잘 활용하는 나라로 세 손가락 안에 꼽혀야 한다는(G3) 목표를 제시했다.
학심은 국가 전반의 AI 혁신을 통해 국민총생산(GDP)의 1.8%포인트 추가 성장을 이끌어낸다는 것이다. 각종 제품·서비스를 적은 노동력으로 무한 공급해 의료·복지·국방 등 국가 기반 시스템 운영 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장밋빛 미래도 제시됐다.
세부적으로 통신, 제조, 금융, 농업, 국방 분야에 걸쳐 ‘AI 전담센터’를 설립하고, 전문 플랫폼 기업이 가담해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정책 패키지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무부처로 큰 책임감을 갖고 국민과 기업이 빠르고 확실하게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후속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