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만5,000대 판매 목표…매물 확보·사업성 개선 주력
3월부터 전기차 판매 시작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인증 중고차 사업 100일을 맞은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목표치로 제시했던 5,000대의 약 5분의 1 수준인 1,057대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현대차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작한 인증 중고차 판매대수는 1,057대로 집계됐다. 여기에 현대차의 인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경매로 넘긴 물량, 소비자로부터 사들였다가 되판 타 브랜드 차량 등을 더하면 지난 100일간 중고차 1,555대를 판매했다.
현대차가 지난해 제시했던 판매 목표는 '5,000대'였다. 목표치에 한참 못 미치는 판매 실적에 현대차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중고차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판매 차종을 전기차로 확대하고, 완성차 회사가 직접 인증한 고품질 중고차를 더 많은 소비자가 접할 수 있도록 고객 거점도 늘릴 계획이다.
현대차는 올해 중고차 사업 목표를 1만5,000대로 잡았다. 일반 소비자에게 파는 인증 중고차에 기업 간 거래(B2B) 판매분, 소비자로부터 사들였다가 인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경매로 처리한 물량 등을 모두 더한 숫자다.
3월부터는 전기차(EV)도 인증 중고차 판매를 시작한다. 일반 소비자 대상 EV 매입도 같은 시점부터 실시한다. 아이오닉 5·6, GV60 등 전용 플랫폼 기반 EV뿐 아니라 코나 일렉트릭을 비롯한 전동화 모델까지 인증 중고차로 살 수 있다.
EV의 경우, 배터리와 관련한 소비자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현대차그룹 기술연구소(남양 연구소)와 중고차 인증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EV가 중고 매물로 나오기 전까지 배터리가 얼만큼 쓰였는지, 주행 중 배터리 손상은 없었는지 등을 꼼꼼히 파악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소비자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서비스 측면에서도 자동차 제조사만이 할 수 있는 각종 혜택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중고차를 살 때 찻값 이외에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없애고, 구매자에 스마트 키 2개를 준다. 기존 차주가 스마트 키를 한 개만 반납했더라도 인증 중고차를 사면 추가로 한 개를 더 받는 것이다.
신차 보증 기간(3년, 6만㎞)을 넘거나 잔여 보증 기간이 1년, 2만㎞ 미만 중고차를 샀을 때에는 연장 보증 기간(1년, 2만㎞)을 제공한다. 중고차 구매 고객에게도 양질의 애프터서비스(AS)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현대차는 거주 인구가 많은 수도권에 인증 중고차 센터를 추가로 열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경남 양산과 경기 용인 등 전국 두 곳에 인증 중고차 센터를 운영해왔다.
현대차 관계자는 “인증 중고차 사업으로 국내에서도 해외처럼 자동차 제조사가 직접 검증한 수준 높은 중고차를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됐다”며 “대한민국 중고차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전체 시장 규모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판매된 차량 중 그랜저(181대)가 가장 많이 팔렸고, 싼타페(89대), 팰리세이드(81대) 순으로 집계됐다. 제네시스에선 G80(128대), GV70(92대) 순이다.
- 지난해 중고 승용차 수출액 6조 육박 '역대 최대'
- [2023 자동차 결산] 전기차 성장세 둔화…대기업 인증중고차 사업 개시
- 기아 인증중고차, 한국타이어와 타이어 공급 업무협약 체결
- 기아, 인증중고차사업 개시…3,000대 판매 목표
- 현대차, 인증중고차 사업 출범…올 판매 목표 '5,000대'
- [기획-자동차] 현대차, 중고차 시장 진출…업계 파장
- 현대차, ‘2024 코나’ 출시…‘모던 플러스’ 트림 신설
-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무디스 신용평가 최초 ‘A등급’ 획득
- 제네시스, 재키 익스 공식 브랜드 파트너 선정
- 현대차 "인도 시장 상장, 확정된 것 없어"…주가 상승 기대감은 ↑
- 美 PGA 투어 ‘2024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 개막
- 제네시스, ‘2024 캐나다 올해의 차’ 전기차 부문 석권
- 현대차그룹, 2024년 상반기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스타트업 모집
- “신차 못지않네”...현대차·기아, 인증 중고차 서비스 품질↑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87.2%…1년 4개월 만에 최고치
- 현대차·KG모빌리티, 인증 중고차 시장 확대 ‘프로모션’ 고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