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채무상환 유상증자 급증…주가 악재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지난해 기업들의 ‘빚’ 갚기용 유상증자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며 주가가 하락하자 기업 부담이 개인 투자자들에게 돌아간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직접금융 방식인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들의 주식가치가 희석되므로 통상 악재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증시에서 채무상환 목적의 유상증자액은 2조1,55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1조1,155억원)보다 93.2% 증가한 액수다.

구체적으로 보면 규모가 큰 기업들의 채무상환 유상증자가 많았다. 실제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채무상환 유상증자 총금액은 1조7,835억원으로 전년 대비 141.3%나 뛰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에선 3,316억원에서 3,721억원으로 12.2% 늘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고 신규로 주식을 발행하는 자금 조달 방식이다. 통상 유상증자는 주식 시장에 악재로 인식된다.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는 만큼 주식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채무상환을 목적으로 한 유상증자라면 향후 사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개발(R&D)이나 시설투자 등의 자금마련 목적과 달리 악재로 해석된다.

◆한계기업 전년보다 8% 증가

CJ CGV는 지난해 6월 유상증자를 발표하고 일부를 채무상환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1만131원에서 지난해 10월 24일 장중 4,670원까지 53.9%나 떨어지기도 했다.

같은 시기 SK이노베이션도 상황이 비슷하다. 1조1400억원의 유상증자 금액 중 30%를 채무상환에 쓰겠다고 밝히자 주가가 하루 만에 8% 급락하기도 했다. 당시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이 나서 주주서한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강조하기도 했지만 주가하락을 막지 못했다.

문제는 한계기업 증가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1674개 상장사 중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710곳이었다. 비중으로 보면 42.4%로 전년 대비 8.1%포인트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1을 밑돌면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으로 이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유상증자라고 무조건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금리 상황에 투자보다는 채무상환용 목적으로 이뤄지면서 타격받는 것”이라며 “이익창출에 기반한 자금수요가 아니라 주주가치 희석을 통해 채무를 상환하겠다는 것이기에 시장에 주는 시그널 자체가 나쁘게 인식되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한계기업들이 늘고 있다는 의미 자체는 결국 경기침체가 장기화 하고 있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보면) 기업들의 유상증자가 흥행을 하지 못하고 철회하는 케이스도 (향후에)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