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 포집 및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
2026년 기반 기술 확보·2030년 실증 통해 2045년 탄소중립 기여 목표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유수의 대학들과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스 호텔에서 경상대·공주대·한국교통대·한국에너지공대·한양대 및 현대차그룹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을 설립 기념 행사를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은 오는 2026년까지 현대차그룹과 참여 대학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만든 기관으로, 공기 중 탄소를 포집하고 이를 소재나 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45년 탄소 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기 중의 CO2(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하고, 이를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의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판단에 이번 공동연구실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은 ▲DAC(공기중에서의 탄소포집) 분과 ▲CO2활용 분과 등 두 개 분과로 구성됐다.
DAC 분과는 경상대, 공주대, 한국교통대가 참여하며, 대기 중에 0.04% 농도로 존재하는 CO2를 효율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할 예정이다.
CO2활용 분과는 경상대, 한국에너지공대, 한양대 등 세 개 학교로 구성됐으며, 포집된 CO2를 메탄올, 메탄, 카본 물질 등으로 변환해 합성연료 및 배터리용 소재로 만드는 연구를 수행한다.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은 기초 기술 확보 이후 차량 장착이 가능한 이동형 탄소 포집 장치, 사업장과 빌딩 등에 활용이 가능한 대용량 고정형 모듈 시스템 등을 개발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의 운영을 총괄하며 연구실이 기술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약 45억원의 연구 예산을 지원하고, 기술 내재화 및 검증에 협력한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연구실의 연구 결과가 각 그룹사의 사업에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초기부터 공동연구실 활동에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상무)은 "산학 연구의 시너지를 통해 탄소중립의 핵심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대자동차 노사, 저출산·육아지원 TFT 구성…"저출산 심각성 공감"
- 현대차그룹, 서울대와 배터리 공동연구센터 개관…차세대 배터리 개발 나서
- 현대차그룹, 집중호우 피해 복구 성금 '30억원' 기부
- [SR창간기획] 현대차그룹, 해외시장 '4색' 공략
- 현대차그룹, 올 하반기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스타트업 모집
- [SR창간기획] 자동차 업계, 전동화 전환 '각축'…차량안전·인력감축 '우려' 공존
- 기아, 2분기 영업익 3조4030억원…'3개분기 연속 최대 실적 경신'
- 현대차·기아, 탄소배출 이력 관리 자동화 시스템 구축…"협력사 지원 강화"
- 현대자동차, 코로나19 백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3년의 기록' 발간
- 현대차그룹, AI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에 642억원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