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경매 DSR 및 고금리 이자부담으로 관망세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75.0%, 전달 대비 0.1%포인트 하락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올해 4월 기준 서울 아파트 낙찰률이 20%를 밑돌았다. 10채 중 8채가 유찰된 셈이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10일에 발표한 ‘2023년 4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전달(33.1%) 대비 14.1%포인트 하락한 19.0%를 기록해 4개월 만에 다시 20%를 밑돌았고, 낙찰가율은 76.5%로 전달(79.0%) 대비 2.5%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대부분이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에서 제외되는 고가 아파트로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및 고금리 이자부담 탓에 관망세가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평균 응찰자 수는 전달(5.4명) 보다 2.5명이 증가한 7.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지역 내 초고가 아파트의 대출규제가 완화되자 강남권 아파트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평균 응찰자 수를 끌어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2,146건으로 이 중 853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39.7%로 전월(29.2%) 보다 10.5%포인트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75.0%로 전달(75.1%)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7.5명) 보다 0.4명이 늘어난 7.9명으로 집계됐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정부의 전방위적인 부동산 규제완화가 이뤄지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하면서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이 41.2%로 전달(30.3%) 보다 10.9%포인트 상승했고, 낙찰가율은 74.1%로 전달(74.2%)과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 수도 전월(14.5명) 대비 4.6명이 감소한 9.9명으로 집계됐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20.4%로 전달(27.6%)에 비해 7.2%포인트 하락했다. 낙찰가율은 70.2%로 전월(68.2%) 보다 2.0%포인트 올랐는데, 감정가 3억원 이하의 저가 아파트가 강세를 보였다. 평균 응찰자 수는 8.3명으로 전달(9.8명)에 비해 1.5명이 감소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대전과 울산 아파트 낙찰가율이 상승했다. 대전 아파트 낙찰가율은 74.7%로 전월(70.2%)에 비해 4.5%포인트 상승했고, 울산 낙찰가율은 79.0%로 전월에 비해 1.5%포인트가 올랐다.
대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71.5%로 전월 보다 1.3%포인트 하락했지만, 2개월 연속 70%선을 유지했다. 부산 아파트 낙찰가율은 71.7%로 전월(72.1%) 대비 0.4%포인트 하락하는데 그쳤고, 광주(75.1%)는 0.1%포인트 떨어지면서 낙폭이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지방 8개 도 중에서는 전남(81.3%)과 경남(79.7%)이 각각 2.5%포인트, 1.0%포인트 상승했다. 경북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달과 동일한 78.8%를 기록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강원(89.1%)은 전달 보다 0.8%포인트 내려갔고, 이어서 전북(78.2%)과 충북(77.1%)이 각각 1.1%포인트 1.7%포인트 떨어졌다. 충남(75.8%)은 전달 대비 2.0%포인트 하락했다. 2건이 낙찰된 제주는 91.8%의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했고, 1건이 낙찰된 세종은 80.1%로 집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