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 분리막 전문업체 ‘에어레인’에 공동투자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SK이노베이션은 SK아이이테크놀로지와 가스 분리막 전문업체 ‘에어레인’에 투자한다고 8일 밝혔다.
리튬이온 배터리용 분리막(이하 LiBS) 분야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탄소 포집∙활용∙저장)의 핵심인 포집에 활용해 탄소감축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라는 게 SK이노 측의 설명이다.
에어레인은 분리막 생산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시스템 설계, 생산,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에어레인은 국가지정 분리막 연구실에서 시작해 사업 초기 에어프로덕츠, 아사히글라스 엔지니어링, 미츠비시 가스화학과 같은 해외 선진사 OEM 제품 생산과 공동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쌓아왔다. 현재는 소재 설계부터 조달, 분리막/모듈 생산, 시스템 설계/제조/운영/관리 등 가스 분리막 전반에서 글로벌 수준의 상업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SK이노베이션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LiBS 제조 기술을 에어레인의 가스 분리 기술과 결합해 분리막 포집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높은 효율성을 가진 신규 고성능 분리막을 개발해 시장을 선점하고, 에어레인이 현재 보유한 분리막 기술 고도화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탄소 포집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분리막 기술 확보를 통해 향후 북미와 유럽 등 해외 시장 진출을 모색할 계획이다.
분리막을 활용한 탄소 포집은 기존 습식, 건식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꼽힌다. 현재 보편화된 습식은 액상 흡수제를 활용해 CO2를 분리해내는 방법으로 규모를 키워 포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 부지 소요, 흡수제 재생에 많은 에너지 필요, 흡수제 분해 및 그에 따른 환경 유해물질 발생 등이 걸림돌이다.
건식은 에너지 소모가 습식보다 적은 고체 흡착제로 CO2를 포집해 비용을 아끼고 설비 소형화가 가능하지만, 흡착제 마모와 뭉침 현상 탓에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CO2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을 활용해 포집하는 분리막 방식은, 막 이외에 화학 물질, 물 등을 사용하지 않아 폐기물/폐수 발생이 없고, 분리막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작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어 설비, 배관 등이 복잡한 공장에 최적이다.
강동수 SK이노베이션 포트폴리오부문장은 “에어레인과의 협업으로 ‘카본 투 그린(Carbon to Green)’ 전략에서 반드시 필요한 CCUS 분야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SK이노베이션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공통 투자한 분리막 포집 기술 뿐만 아니라, SK에너지의 활용 기술, SK어스온의 저장 기술 등 SK이노베이션 계열의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CCUS 분야 경쟁력을 적극 키워갈 것”이라고 말했다.
-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익 3750억…전년 동기比 '77.3%' 감소
- SK이노, SK·한수원·테라파워와 '차세대 원전 개발·사업화' 협력
- SK이노베이션, 신입사원 입사 100일 기념행사 개최
- SK이노베이션, 신임 이사회 의장에 박진회 사외이사 선임
- SK이노, 지구의 날 맞아 플로깅 캠페인 '산해진미 위크' 실시
- SK이노베이션, 울산 산불피해지역에 ‘SK 울산 행복의 숲’ 조성
- SK이노베이션, 구성원 가족 초청행사 '오픈하우스' 개최
- SK아이이테크놀로지, 국제금융공사 투자금 '3억달러' 유치
- SK이노베이션, 사회적가치 '3조원' 창출
- SK이노베이션, 행복 나눔 사랑잇기 대면 봉사활동 재개
-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석유공사와 '저탄소에너지' 사업 협력 강화
- SK이노베이션, 미국서 '글로벌 포럼' 개최
- SK에너지, 중온 아스팔트 활용 '온실가스 감축' 외부사업 환경부 인증
- SKIET, 글로벌 확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해외고객사 소통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