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지난 1월 통화량이 9년 반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지속되면서 금리가 높은 정기 예·적금으로 쏠렸다.

한국은행이 15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를 보면, 지난 1월 평균 광의 통화량(M2)은 3,803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보다 6조7,000억원, 0.2% 줄었다.

통화량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13년 8월 이후 9년 5개월 만이다. 지난해 12월 통화량 증가율이 당초 -0.2%로 공표됐지만, 정기 계정변동 조정(2018~2022년 대상)을 거치면서 수치가 0.1%로 변경됐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등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삼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가운데 정기 예·적금은 18조9,000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에 있던 자금이 금리가 높은 정기 예·적금으로 이동한 영향이다.

반대로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25조8,000억원 빠져나갔다. 2002년 통계편제 이후 역대급 규모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