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각형 배터리 시제품 개발 '완료' 올해 안 시제품 생산 '돌입' 예정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파우치형 배터리 전문기업인 SK온이 각형 배터리 실물 모형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SK온은 오는 15일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각형 배터리 실물 모형을 전시한다고 9일 밝혔다.
SK온은 시제품 개발을 완료했고 올해 안에 시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SK온의 각형 배터리는 빠른 충전 속도가 특징이다.
올해 초 미국 CES에서 최고혁신상을 받은 SK온의 급속충전 배터리가 18분 동안 80%까지 충전이 가능한데 각형 배터리 충전 속도는 이보다 빠르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SK온은 기존 파우치형에 각형을 더해 공급처를 다양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코발트를 완전히 배제한 코발트 프리(Co-Free) 배터리와 LFP 배터리, 각형 배터리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SK온은 목표 시점을 1년 이상 앞당겨 최근 코발트 프리 배터리를 개발했다.
삼원계 배터리는 코발트가 없으면 보통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수명이 짧아지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했다.
하이니켈 기술로 코발트 프리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문제를 개선해 주행거리도 확보했다.
LFP 배터리 시제품도 공개된다. LFP 배터리는 영하 20도 이하 저온 환경에서 주행 거리가 평상시의 50∼70%로 급감하는데 SK온은 이를 70∼80%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차세대 배터리로 연구 중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품도 공개한다.
최경환 SK온 차세대배터리 담당은 개막일인 오는 15일 전고체전지 보다 안전한 배터리를 위한 SK온의 기술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
SK온 전시관은 전원(on) 버튼을 형상화한 구조로 3개 구역(zone)으로 각각 SK온의 현재, 적용, 미래를 주제로 구성됐다.
현재(Present)를 주제로 하는 첫번째 구역에서는 배터리 원소재와 파우치, 동박, 셀 등을 제조 순서에 따라 만져볼 수 있다. 또 Z-폴딩 기법, SK온의 셀투팩(CTP) 기술 등을 소개한다.
두번째 적용(Application) 구역에서는 배터리 전력을 외부 전자기기에 활용하는 V2L(Vehicle to Load) 사례를 통해 SK온의 하이니켈 배터리의 성능을 설명한다.
세번째 미래(Future) 구역은 배터리 원료, 생산, 충전, 폐배터리 회수, 재활용 SK온의 친환경 행보와 탄소 배출 넷제로 비전을 제시한다다.
SK온 관계자는 “SK온의 현재를 소개하고 미래에 전개할 첨단 배터리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앞으로는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고객사의 요구에 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 [SR산업] SK온·포드, 미국 합작 공장 장비 '95%' 한국산
- [SR산업] SK온, 카이스트와 ‘배터리 인재’ 키우는 교육 프로그램 개설
- [SR산업] 포드, SK온 대신 LG엔솔과 튀르키예 배터리 공장 지을 듯
- [SR산업] SK온, 튀르키예 배터리 합작공장 철회 검토
- [SR산업] SK온, CES 2023에 ‘S·N·S 삼총사’ 출품
- SK, 동남아 차량공유 사업 확장 가속화
- SK온, 에코프로·GEM과 배터리 전구체 공장 건설
- SK온, 3,757억원 규모 신주 발행 결의…투자자금 확보 나서
- SK온,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 인프라 강화 '4,700억' 투자
- SK온, 하나증권·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과 ‘2차전지 투자 확장' 업무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