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서밋서 로드맵 발표…“AI DC 종합 사업자 진화 목표”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대한민국이 아시아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겠다”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3일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연설을 통해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공개하며,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AI 인프라 진화를 이끌겠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SKT의 AI DC 관련 주요 성과 소개와 함께 ▲울산 AI DC 대규모 확장 검토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 글로벌 진출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을 통한 ‘에지AI’ 추진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AI DC 종합 사업자 도약 등을 골자로 하는 'AI 인프라의 Now & Next' 전략도 공개됐다.
SKT는 기존 AWS를 포함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하며, 울산 AI DC를 총 1GW 이상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2, 제3의 울산 AI DC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자본의 한국 투자를 유도하고, 한국을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지난 10월 SK그룹은 오픈AI와 MOU를 체결하며 서남권 지역에 AI DC 설립 추진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한 바 있다.
정 CEO는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을 앞세워 SK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동남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대표적으로 SK이노베이션과 함께 추진하는 베트남 사업은 LNG 발전소를 통한 안정적 전력확보에 더해 냉열 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에 활용한 AI DC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T는 그룹 멤버사의 글로벌 사업과 연계해 독자 기술을 집약한 AI DC 구축을 추진하며, 향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정 CEO는 “AI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통신사가 확보해온 네트워크 인프라가 재조명받고 있다”며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AI DC와 온디바이스 AI 사이의 간극을 메꿀 수 있는 ‘에지AI’와 AI가 적용된 지능형 통신망 기술 ‘AI-RAN’은 통신사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정 CEO는 이어 “AI DC 사업에서 기존의 역할을 확대해, 설계·구축·운영 등 AI DC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