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전지선 기자] 현대차·기아가 정부와 민간기업, 학계가 함께 참여하는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를 공식 출범시키며 미래 모빌리티 전환의 첫발을 내디뎠다. 자율주행·AI 기술을 기반으로 교통 격차 해소와 스마트시티 구현을 목표로 한 개방형 협의체로, 민관이 경계를 허물고 협력하는 새로운 K-모빌리티 모델이 될지 주목된다.
현대차·기아는 그랜드 워커힐 서울 호텔(서울시 광진구)에서 민·관이 경계 없이 협력하는 협의체,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 누마)’의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출범식은 현대차·기아가 지난 3월 소프트웨어 비전 행사 ‘Pleos 25(플레오스 이십오)’에서 NUMA 구축 계획을 발표한 뒤 처음으로 갖는 공식 행사다.
NUMA는 꾸준한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하는 지역 간 교통 격차, 사회적∙신체적 교통 약자의 이동 등 실질적인 사회 문제의 해결을 기업의 혁신과 정부의 정책, 학계의 전문성이 조화롭게 맞물려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시작됐다.
해당 협의체는 단계별 활동 방향성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각 참여 주체들간의 긴밀한 상호 협력을 이어간다.
구체적으로 ▲1단계: 지역교통의 AI 전환 및 기술기반 교통문제 해결 ▲2단계: 자율주행 기술 및 미래 모빌리티 디바이스 기반의 자율주행-MaaS(Mobility as a Service) 실현 ▲3단계: 스마트시티 전환을 위한 AI 모빌리티의 확산 등으로 향후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NUMA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형 협의체 모델이라는 점이다.
이번 출범식을 시작으로 향후에도 참여사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경계 없는 협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현재까지 ▲정부기관으로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경기도, 한국교통안전공단 ▲민간기업은 현대차·기아, 현대카드, KT, CJ대한통운,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모빌리티, 한화손해보험 ▲연구기관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 등 총 31개 주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참여하는 기관 및 기업들과 협력해 협의체를 운영하며, 동시에 참여사 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실질적인 과제 발굴이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부도 국민의 보편적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교통기본법 제정 등 교통 소외지역과 교통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 방향을 마련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도 수립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 송창현 사장은 “자율주행과 AI는 일상을 새롭게 설계하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라며 “현대차·기아는 주관사이자 파트너로서 교통약자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기술 기반의 포용적 이동권을 실현하고, 세계 도시들과 연결되는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강희업 2차관은 “교통은 이제 단순 인프라가 아닌 국민의 일상이자 삶을 연결하는 필수 서비스로서 국민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교통 격차 없는 대한민국,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사회를 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현대차, 美 친환경차 150만대 돌파…EV 시험대는 이제부터
- 현대차그룹, 슈퍼널 신재원 사장 고문 위촉
- 현대차 아이오닉 5, 후방 추돌 사고서 18개월 쌍둥이 지켜내
- 현대차, 덤프트럭 점유율 1위 기념 ‘국민트럭 동행 페스타’ 실시
- 티맵모빌리티, 민관 모빌리티 연합체 NUMA 합류…스마트시티 전환 목표
- 현대차, 소형 EV 콘셉트카 ‘Concept THREE’ 티저 공개
- CATL 배터리·안전 보조 기능 탑재…기아, ‘EV5’로 시장 공략
- 온실가스 줄이고 농촌 살린다…기아, 가축분뇨 에너지화 협력
- 현대차 노사 협상 결렬…노조, 3~5일 부분 파업 예고
- 현대차, 소아암 연구·치료 지원 글로벌화…유럽·인도까지
- 기아, 제4회 ‘PBV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나채범 한화손보 대표, 자사주 1만주 추가 매입…캐롯과 시너지 자신감
- 현대카드, ‘소중한주’ 캠페인 실시…금융 소비자 보호 ‘앞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