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청주캠퍼스 정문.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청주캠퍼스 정문. ⓒSK하이닉스

노조 "모든 수단과 방법 동원해 강경 투쟁할 것"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SK하이닉스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에 나선 가운데 노조 측이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노조와 사측은 전날 이천 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10차 임금교섭'에서 임금협상을 논의했다. 사측이 초과이익분배금(PS) 기준과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 등을 추가로 제시했음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PS를 지급해왔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영업이익 23조4,673억원)을 달성하며 올해 초 기본급 1,500%의 PS와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했으나, 노조와 구성원들은 이보다 높은 수준의 특별성과급이 지급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갈등은 불거졌다. 이에 따라 노사는 올해 임금교섭에서 임금 인상률 외에 새로운 PS 기준도 협의하고 있다.

이번 교섭에서 사측은 실적과 성과에 상응하는 성과주의 보상 원칙하에 기존 제시안에서 진전된 PS 기준을 추가 제시했다. 영업이익 10% 내 당해 연도 지급한도 재설정이 가능하고,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 및 지급 방식은 추가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앞서 사측은 지난달 진행된 8차 교섭에서 기존 1000%까지 지급되던 PS의 상한선 기준을 1700%로 상향하고, 지급하고도 남은 영업이익 10% 재원 중 50%를 구성원들의 PS 재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PS로 지급한 후 남은 재원의 절반을 적립해 다시 구성원들에게 돌려주고, 나머지 절반은 미래 투자 등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다만 노조는 영업이익 10%를 모두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양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해 교섭 결렬로 이어졌다.

노조는 성명문을 통해 "회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낮은 임금 인상안과 성과급 기준안에서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고수했다"며 "어떤 조정 의지도, 타협 노력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10차 본교섭을 끝으로 2025년 임금교섭의 결렬을 공식 선언한다"며 "지금부터 우리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강경 투쟁의 최종 국면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키워드
#SK하이닉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