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5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003.2~2025.5 정권별 서울 아파트 시세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경실련은 노무현 정부가 출범한 2003년부터 윤석열 정부가 끝난 올해 5월까지 22년간 서울 25개구 30평형 아파트 평균 시세 정권별 변동현황을 공개했다. 서울 아파트 평당값을 먼저 구한 뒤 30을 곱해 30평형 가격을 계산했다는 설명이다.
경실련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권별 아파트 시세 상승액 및 상승률은 노무현 정부 2.3억원(80%). 이명박 정부 –0.5억원(-10%), 박근혜 정부 1억원(21%), 문재인 정부 6.8억원(119%), 윤석열 정부 0.2억원(1%) 등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시세가 가장 많이 상승한 정권으로는 문재인 정부 6.8억원(119%), 노무현 정부 2.3억원(80%), 박근혜 정부 1억원(21%), 윤석열 정부 0.2억원(1%), 이명박 정부 –0.5억원(-10%) 순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문재인 정부 임기 5년 동안 서울 아파트 시세는 무려 2배가 넘게 올라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다. 노무현·문재인 정부 상승액은 총 9.1억원으로 이명박·박근혜·윤석열 정부 상승액 0.7억원보다 약 13배에 달하는 8.4억원 더 많았다.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 30평형 아파트 평균 시세 변동을 조사에서 각 정권별 상승률은 노무현 정부 120%, 문재인 정부 110%, 박근혜 정부 37%, 윤석열 정부 23%, 이명박 정부 –21% 순이다.
상승액은 문재인 정부 13.8억원, 노무현 정부 6.3억원, 윤석열 정부 6억원, 박근혜 정부 3.4억원, 이명박 정부 -2.4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를 제외한 서울 22개구 30평형 아파트 평균 시세 변동에서는 상승률의 경우 문재인 정부 122%, 노무현 정부 65%, 박근혜 정부 16%, 이명박 정부 –6%, 윤석열 정부 –7% 순이었다.
또한 상승액은 문재인 정부 5.9억원을 비롯해 노무현 정부 1.9억원, 박근혜 정부 0.7억원, 이명박 정부 –0.3억원, 윤석열 정부 –0.6억원 등 뒤를 이었다. 아울러 강남·비강남 아파트 격차의 경우 윤석열 정부 동안 크게 확대시킨 것으로 파악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