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전지선 기자] 지난해 국내 대기업 전체 직원 수가 전년보다 3만3,000여 명 증가한 가운데, 그룹별 고용 추이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삼성과 현대차, 쿠팡 등은 인력을 늘린 반면 SK와 LG는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전문기관 한국CXO연구소가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92개 대기업집단 소속 국내 계열사 3,301곳의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3년 말 기준 전체 직원 수는 187만2,346명으로, 전년 대비 3만3,047명(1.8%) 증가했다. 다만 2022년 대비 2023년에는 5만5,919명(3.1%)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고용 증가 속도는 둔화된 모습이다.
전체 조사 대상 중 46개 그룹은 직원 수가 증가했고, 41개 그룹은 감소했다. 고용 증가 규모 1위는 1만5,179명을 새로 채용한 쿠팡이었다. 쿠팡 계열사 중 쿠팡풀필먼트서비스는 1년 사이 1만4,000명 이상 인력을 늘려 단일 기업 기준으로도 상위 고용 기업으로 부상했다.
한진그룹 역시 1만3,092명 증가하며 1만 명 이상 고용을 늘린 기업 중 하나였다. 이는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을 인수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 외에도 ▲삼성(6,477명↑) ▲현대차(6,188명↑) ▲HD현대(2,834명↑) ▲CJ(2,780명↑) ▲한화(2,378명↑) ▲한국앤컴퍼니(2,343명↑) ▲이랜드(2,191명↑) ▲동국제강(1,827명↑) 등 1,000명 이상 인력이 증가한 그룹이 여럿 있었다.
반면 SK는 6,649명이 줄어든 10만8,301명을 기록했다. LG도 5,482명 감소한 14만9,459명에 그쳤다. 특히 LG이노텍(2,609명↓)과 LG디스플레이(2,225명↓)는 1년 새 2,000명 이상 인력이 줄었다. SK의 경우 일부 계열사 매각 및 사업 조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고용 1만 명 클럽’에 해당하는 기업은 30곳에 달했으며, 이 중 단일 기업 기준 최대 고용을 기록한 곳은 삼성전자(12만3,411명)였다. 쿠팡풀필먼트서비스(7만8,159명), 현대자동차(7만5,409명), 기아(3만6,338명), LG전자(3만6,005명) 등이 뒤를 이었다.
그룹 전체 고용 규모에서도 삼성은 28만4,761명으로 1위에 올랐으며 ▲현대차(20만3,915명) ▲LG(14만9,459명) ▲SK(10만8,301명) ▲쿠팡(9만9,881명) 순이었다. 특히 현대차는 처음으로 고용 규모 20만 명을 돌파하며 삼성과 함께 ‘고용 20만 명 시대’를 연 그룹으로 기록됐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대기업 집단의 경제적 영향력에 비해 전체 고용 기여도는 여전히 10% 초반에 머물고 있다”며 “향후 고용 확대 전략과 산업 구조 개편이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을 지속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