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체 자체 BIM과 3D 스캔기술 적용 이미지. ⓒ금호건설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금호건설은 건설산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자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환경 구축을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BIM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전 과정을 3차원 모델과 정보데이터로 통합관리하는 기술로, 건물을 3D로 보여주면서 시간과 필요한 정보를 함께 담은 설계도 방식이다. 

이처럼 BIM은 설계오류를 사전에 예방하고 시공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협업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하는데, BIM 작업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기준과 디지털 소스, 템플릿, 알고리즘 등을 BIM 기술환경이라고 통칭한다.

금호건설은 이번 연구를 통해 국토교통부의 BIM 지침을 보완한 사내 BIM 기준과 지침을 정립하고, BIM 수행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구축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설계검토와 수량산출 업무에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해 작업 시간을 최대 50% 단축했으며, 자체적인 공통 데이터 환경(CDE, Common Data Environment)의 협업 체계마련으로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해졌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금호건설은 또, 드론을 활용한 3D 스캔기술을 도입하고 관련 매뉴얼을 정비해 현장 누구나 손쉽게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면서,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적극 활용해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이번 BIM 기술환경 구축은 단순한 도구 도입을 넘어 디지털 건설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며 “데이터 품질 개선과 반복 작업 감소 등 기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