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홈플러스는 신영증권 경영진을 신용·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고 29일 밝혔다.
홈플러스가 지난 28일 서울중앙지검에 제출한 고소장에 따르면 신용증권은 홈플러스의 재무·신용상태에 대해 파악하고 있었다.
홈플러스 측은 신영증권이 홈플러스의 영업이익이 적자였던 기간동안 장기간 걸쳐 홈플러스와 거래해왔기 때문에 홈플러스의 재무·신용상태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홈플러스가 갑작스런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치 못했던 것과 단순히 채무를 면제받기 위해 회생절차 개시 신청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신영증권은 지난 2022년 8월부터 2025년 2월 25일까지 2조7,000억원에 이르는 홈플러스의 매입채무유동화(ABSTB) 거래와 5,000억원에 이르는 기업어음(CP)과 전단채 인수거래를 담당하면서 IR자료 등을 수령해 유동화 과정의 안전성 등에 대해 지속적인 분석·검토 작업을 진행해왔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홈플러스 재무지표가 지속 개선되는 추세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홈플러스 측은 설명했다.
신영증권이 설립한 SPC는 2025년 2월 25일자로 ABSTB에 대해 독자적으로 한국기업평가 등 신용평가사에 신용등급 평가를 의뢰해 A3 등급을 받았고 이에 기반해 ABSTB를 SPC 명의로 발행도 했다.
또, 홈플러스가 2023년 2월 27일 한국신용평가로부터 신용등급이 A3+에서 A30로 하락평가 받은 이후 대규모 리파이낸싱, 자산 매각대금·폐점보상금 등을 통한 재무구조 안정화, 채무 변제 등 신용등급 추가 하락 방지를 위해 노력한 사실도 인지했다고 홈플러스 측은 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은 지난 3월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미리 인지·예상하고 고의로 신영증권에 이를 고지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허위진술이며 홈플러스 명예를 훼손하고 변제자력과 변제의사에 관한 신용을 훼손해 회생절차에 지장을 초래했다고 홈플러스 측은 주장했다.
아울러 홈플러스 측은 카드매출대금채권을 유동화한다는 사실을 알았지, ABSTB 판매에 전혀 관여한 바 없으며 판매규와 내역 등을 사전 공유받은 바도 없다는 입장으로 금융감독원의 조사와 향후 검찰수사를 통해 명확히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