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5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한 달 새 최대 0.36%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초부터 고정형 주담대 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이 하락한 영향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연 3.04~5.54%(9일 기준)에 형성됐다. 한 달 전 연 3.40~5.90%였던 것과 비교하면 상·하단 모두 0.36%포인트 낮아졌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의 고정형 주담대 금리가 연 3.78~5.18%에서 연 3.53~4.93%로 한 달 사이 상하단이 모두 0.25%포인트씩 내렸다. 신한은행은 연 3.68~4.99%에서 연 3.47~4.77%로 상단이 0.22%포인트, 하단은 0.21%포인트 하락했고, NH농협은행은 연 3.40~5.90%에서 연 3.04~5.54%로 상·하단이 각각 0.36%포인트 낮아졌다.
고정형 주담대 금리가 내린 것은 은행채(무보증·AAA) 5년물 금리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지난달 30일 2.681%로 연중 최저점을 기록한 때문이다.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6%대로 떨어진 것은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이다.
다만 변동형 주담대 금리의 경우 아직 하단이 3% 후반대로 고정금리보다 높다. 이달 9일 기준 5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3.97~6.07%에 형성됐다.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은 코픽스(COFIX)로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에서 고정형 주담대를 확대하라는 금융당국 정책 기조를 반영해서 변동형 주담대 금리를 고정형 금리보다 높게 유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