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5,000건 넘겨…6,000건 넘을 듯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후 거래비중 절반 이상 차지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서울시가 송파구 잠실과 강남 삼성‧대치‧청담 아파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하고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자 과열양상을 보일 경우 다시 규제를 지정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아파트 거래가 급증하고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맞지만 정책 일관성이 없을 경우 오히려 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해제된 이후 전세를 낀 매매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매수세가 늘자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다. 인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으로도 가격 상승세가 옮겨붙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3월 2주차(10일 기준) 주간매매가격지수 변동률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20% 오르며 상승폭을 확대했다. 특히 송파구(0.72%)와 강남구(0.69%), 서초구(0.62%) 상승률이 가파르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마포(0.21%)와 용산(0.23%), 성동(0.29%) 지역도 전주 각각 0.11%, 0.10%, 0.08% 상승률을 기록했던 데 비해 두배 가량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거래량도 매우 빠르게 늘었다. 이날까지 신고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5,171건이다. 매매거래 신고 기한이 30일인 점을 고려해 아직 신고되지 않은 거래량을 고려하면 6,000건 이상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지난해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던 8월(6,537건) 이후 최다 기록이며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거래량이 3,000건대에 머물렀던 데 비하면 큰 증가폭이다.
게다가 전날 기준 2월 서울 아파트 거래 중 규제 완화 발표날인 13일 이후 계약된 사례는 3,281건으로 전체의 60% 이상을 기록하고 있고 송파구(428건)에 이어 강남구(419건), 강동구(344건)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였다.
특히 강남구는 419건 거래 중 288건이 토지거래구역 지정 해제 후 계약됐다. 송파구 또한 지금까지 신고된 428건 중 62.6%인 268건이 13일 이후 계약이 이뤄졌다.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이후 단기적인 집값 상승은 예견했다고 봤지만 과열 양상을 보일 경우 다시 규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최근 “집값 상승이 비정상적일 정도로 과도하면 다시 규제하는 것을 검토해 볼 수 있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풀게 되면 눌렸던 스프링이 튀어 오르는 것처럼 처음에는 약간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지금까지는 예상 수준을 넘어서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시장 변화는 예상 가능한 수준이었지만 그 이상 과열될 경우 규제카드를 다시 꺼낸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아파트 가격 변동은 정상 가격대를 찾기 위한 당연한 과정이라고 보면서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은 정책 일관성을 우려해 실현 가능성이 미미하다고 보고 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토지거래허가제는 과거 시장의 경험을 고려해보면 전세가격 상승에 일조하거나 인근 지역 풍선효과를 야기하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며 “때문에 시장에 브레이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있어도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보다 다른 추가적인 규제책이나 안전장치가 나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양 수석은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 변동에 대해 “왜곡된 가격의 시장을 다시 안정화 하는 과정에서 겪는 단기 급등이고 규제 완화 후 시장에서 나오는 당연한 반응”이라며 “공급 부족 영향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가격이 우상향할 수는 있지만 급격한 가격 상승을 겪을 경우 높은 가격에서 수요가 꾸준히 유입될 수 없기 때문에 급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긴 어렵다”고 전망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도 “3~6개월 기다리면 강남 집값은 자연스럽게 안정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며 “충분한 조정을 거친 후 올라갈 때가 돼 올라가는 상승장이 아니라 등락을 거듭하는 조정의 구간 안에서 불안심리로 발생한 이상 급등이기에 몇 달 후 상승세는 당연히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김 소장은 “한번 올라간 집값은 쉽게 떨어지지 않는데 금리인하와 입주물량 부족, 올라간 강남 집값이 고착화되면 나머지 집값도 키를 맞출 수 있다”며 “서울시 입장에서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은 오락가락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고 집값이 잡힌다는 보장이 없으면 시행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