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순이익이 전년 대비 3.4% 증가한 4조5,17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지난 2022년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 영향이 반영된 연간 순이익 4조6,423억원에 이은 두 번째 실적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이자이익은 11조4,023억원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누적 그룹 순이자마진(NIM)이 1.93%로 전년 대비 4bp(1bp=0.01%포인트) 하락했지만, 금리부자산이 전년 말 대비 7.3% 증가한 영향이다.
비이자이익은 3조2,575억원으로 전년 대비 5.0% 감소했다. 4분기 비이자이익은 자본시장 변동성 확대 영향으로 유가증권과 외환·파생 관련 손익 등이 줄면서 전 분기 대비 74.0% 급감했다.
그룹의 연간 글로벌 손익은 7,5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8.1% 증가했다. 신한베트남은행과 일본 SBJ은행의 당기순이익은 각각 2,640억원(13.4% 증가), 1,486억원(17.0% 증가)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연간 판매관리비는 6조1,162억원으로 전년 대비 3.7% 늘었다. 4분기 판매관리비는 희망퇴직 비용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19.7% 증가했다. 연간 그룹 영업이익경비율(CIR)은 41.7%로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9,9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4% 감소했다. 부동산 관련 보수적인 대손충당금 인식에도 전년도 기저효과로 줄었다.
그룹 대손비용률은 0.47%로 전년 대비 10bp 개선됐다. 4분기 대손비용은 6,029억원으로 부동산 관련 추가 충당금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49.6% 증가했다.
연간 영업외손실은 4,262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중 신한은행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2,740억원 ▲2분기 중 홍콩H지수 회복에 따른 ELS 관련 충당부채 환입 913억원 ▲3분기 중 신한투자증권 지분법 평가손실 306억원 ▲4분기 중 기부금 454억원 등의 영향이다.
지난해 말 잠정 그룹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76%, 보통주 자본비율(CET1비율)은 13.03%로 나타났다. 적정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준의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주요 계열사를 보면 신한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3조6,95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0.5% 증가한 역대 최대 실적이다. 신한카드의 연간 순이익은 5,721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줄었다. 신한라이프 순이익은 5,284억원으로 11.9% 늘었다. 신한투자증권 순이익은 2,458억원으로 143.6% 증가했다. 신한캐피탈 순이익은 1,169억원으로 61.5% 감소했다.
신한지주 이사회는 이날 4분기 주당 배당금 540원과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을 결의했다. 올해 1월 중 취득 완료한 1,500억원의 자사주를 포함해 2월 현재까지 총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소각을 결정했다. 총주주환원 규모는 1조1,000억원 배당을 포함해 총 1조7,500억원 이상을 제시했다.
- 시중은행, 위험가중자산 관리 '온힘'
- "위기를 기회로" 경제계 리더들, 상의서 새해 의지 다져
- [인사] 신한금융지주·신한은행
- [기획-2024 금융업 결산] 금융사고 ‘내부통제’ 도마…은행장 등 ‘CEO’ 물갈이
- 정상혁 신한은행장, 유일한 ‘2년 연임’…배경은
- 은행장 교체인사 키워드…‘파격’ 또는 ‘구원’
- 4대 금융, ‘패닉 셀’ 막기 총력…“외인 투자자와 소통 강화”
- 4대 금융, 시총 ‘11조’ 증발…“패닉 수준”
- 우리금융, '보통주자본비율' 12% 밑으로 하락
- 4대 금융, ‘강달러’ 악재…“보통주자본비율 하락 전망”
- 5대 금융지주, 역대급 순익…비이자 이익 '한몫'
- 4대 금융, 영업효율 개선세…신한·우리금융 ‘두각’
- “신한투자증권 통해 일본주식 단수 주문 가능해진다”
- 신한투자증권, 글로벌 비상장 주식자문 서비스 개시
- 4대 금융, '슈퍼앱' 고객 유입 증가…AI 금융혁신 가속화
- HL D&I한라, 1,079억원 규모 ‘남구로역세권 재개발사업’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