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2월 배터리 인증제 도입 앞두고 조기 시범사업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국토교통부가 이달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배터리 인증제는 전기차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안전성을 정부가 사전에 직접 시험해 인증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자동차관리법 개정에 따라 내년 2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새로 시행되는 이 제도는 2003년 제작자 스스로 자동차가 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제작됐는지 여부를 확인해 판매하는 자기인증제도를 시행한 이후 20여년만에 전기차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체계로 전면 전환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국토부는 강조했다.
최근 정부는 전기차 안전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달 관계부처 합동으로 ‘전기차 화재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을 통해 배터리 인증제를 조기에 안착시켜 전기차 안전성의 핵심 요소인 배터리 안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에는 업계 수요조사 결과 총 5개 업체가 참여한다. 승용차 배터리 부문은 현대차·기아, 이륜차 배터리 부문은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 LG에너지솔루션 등이다.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참여업체 들은 배터리 안전성 시험에 착수한다. 배터리 안전성 시험은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성능시험 대행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총 12개 시험항목에 대해 진행한다. 시험항목은 ▲열충격시험 ▲연소시험 ▲과열방지시험 ▲단락시험 ▲과충전시험 ▲과방전시험 ▲과전류시험 ▲진동시험 ▲기계적시험(충격·압착시험) ▲낙하시험 ▲침수시험 등이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배터리 인증제는 전기차 안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배터리 인증제가 조기에 안착해 국민들이 보다 안심하고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LG에너지솔루션·포드, 유럽 상용차용 배터리 공급 ‘맞손’
- ‘이차전지 캐즘을 기회로’…11일 ‘배터리 코리아 2024’ 막 올려
- 전기차 화재 사고 ‘벤츠 EQE’ 차주 집단소송
- LG에너지솔루션, 벤츠에 10년간 배터리 공급…계약금 수조원대 추정
- 기아, ‘더 기아 타스만’ 티저 공개
- '역대 최대'라더니…내년 국토교통 R&D 예산 668억 부족
- 국토부 ‘GTX-B 가평·춘천 연장’ 2030년 동시 개통 가능
- LG에너지솔루션, 포드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 전기차 충전 대신 배터리 교환 가능…국토부 모빌리티 규제 14건 특례
- 현대차, 배터리 개발 기술인력 신규 채용
- 국토부, 지하안전관리 특별점검 착수…2개월간 집중점검
- 정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강화…생산·폐기까지 관리 도입
- 국토교통부, 고속도로 자율주행 화물차 시범운행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