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제철·에코프로비엠과 전구체 없는 직접합성법 기술 개발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총 4년간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LFP 배터리의 양극재는 인산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전구체는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확보하고자 하는 직접합성법은 별도의 전구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산, 철(Fe),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가 삭제돼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직접합성법을 통한 효율적인 양극재 생산을 위해서는 불순물이 없고 균일한 입자의 원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과 함께 국내 재활용 철을 가공한 고순도 미세 철 분말 공정기술을 개발한다. 에코프로비엠도 이를 활용해 직접 합성 LFP 양극재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앞으로 전기차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배터리 기술 개발과 효과적인 재료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요 기술을 내재화해 국가와 현대차그룹의 기술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전기차 화재 불안감에 구매 감소세…배터리 성능 관건”
- 기아, 일본 PBV 시장 진출
- 현대자동차·빽다방, 캐스퍼 제휴 이벤트 실시
- 현대자동차, 2025 아이오닉 5 N 출시
- 유럽 EV 생산거점 찾은 정의선 회장, 성장전략 모색
- 국내 모빌리티 기업, 자율주행 사업 확장에 총력
- 현대차그룹·소방청, 전기차 화재 안전대책 협력체계 구축
- 현대차·기아, 美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과 미래 디자인 연구 가속화
- 기아, 노사 합동 사랑나누기 기부 사업 진행…소외계층 지원
- 현대차·기아 등 13개 차종, 제작결함으로 자발적 리콜 진행
- 현대차 ‘메이드 쿨러 바이 현대’ 캠페인, PR 시상식 자동차부문 수상
- 현대차그룹, ‘해피무브 더 그린 수료식’ 열어
- 기아 노사, 올해 임단협 2차 잠정 합의…4년 연속 무파업
- 기아, 기아타이거즈 정규리그 우승 기념 고객 프로모션 실시
- ‘고객에 다양한 경품 제공’…기아, 타이거즈 정규리그 우승 기념 이벤트
- 현대차그룹 제로원, 디캠프와 우수 스타트업 모집 ‘디데이’ 개최
- 기아, The 2025 카니발 출시…편의사양 시그니처 트림 기본화
- 현대차, 배터리 개발 기술인력 신규 채용
-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서울대·포스텍·키스트 공동 연구체계 구축
- 현대차·기아, ‘2024 R&D 협력사 테크 데이’ 개최
- 현대차·기아, 소프티어 부트캠프 5기 모집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근무 설비담당 50대 직원 사망
- LG에너지솔루션, LFP 배터리 공급 확대하나
- 현대차·기아, 글로벌 통합 탄소배출 정보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