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외직구·구매대행 등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큐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의료제품·식품 관련 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불법유통‧부당광고 게시물 총 669건을 적발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차단 요청했다고 22일 밝혔다.
식약처는 불법유통으로 적발된 572건의 의약품, 의료기기, 의약외품에는 피부질환치료제, 창상피복제 등이 있었고, 국내 허가받지 않은 제품이 유통·판매되거나 구매대행을 통해 해외직구 형태로 유입되고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불법 의약품의 경우 허가받은 의약품과 달리 이상 반응 등이 발생한 경우, 피해구제를 받을 수 없으므로 허가받지 않은 의약품을 절대로 복용하거나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식약처는 당부했다. 더욱이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경우 판매자가 구매자의 개인통관고유번호를 요구하면서 (구매자의)해외직구를 알선 또는 광고하는 행위도 불법이다.
식약처가 부당광고로 적발한 97건의 식품과 화장품 사례를 살펴보면 식품의 경우, 일반 식품을 ‘장건강’, ‘배변활동’ 등 기능성이 있는 것처럼 광고하거나 ‘탈모’ 등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부당광고하는 사례가 있었다.
화장품의 경우는 일반 화장품을 ‘자외선 차단’ 등의 효과가 있는 기능성화장품처럼 광고하거나 ‘염증조절’ 등 의약품의 효과가 있는 것처럼 부당광고하는 사례 등이 다수 적발됐다.
식약처는 식품·의료제품 온라인 불법 게시물을 신속히 차단하기 위해 해외 온라인 플랫폼과 협력해 큐텐과 알리익스프레스의 경우 직접 차단 요청하고 있으며, 이외의 해외 플랫폼(테무 등)과도 직접 차단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한 불법유통·부당광고 등을 지속 점검해 국민께서 안심하고 식품·의료제품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식약처로부터 허가·심사·인정받은 의료제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정보는 식약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규정 강화 앞두고 다시 불붙은 숙취해소제 마케팅 경쟁
- 제일약품, 국산 37호 신약 자큐보 POA 성료
- “일반식품을 수면유도제로”…식약처, 부당광고 56건 적발
- 삼진제약, ‘오송공장 주사제동’ 식약처 GMP 승인
- “中이커머스 판매 일부 어린이 제품서 유해 물질 기준치 초과”
- 식약처, 식품·화장품·의약외품 등 부당광고 194건 적발
- 식약처, ‘덜 짠’·‘당류 줄인’ 등 표시 가능 기준 확대
- 알리익스프레스, 원산지 표시 위반 첫 전수조사 실시
- “식품 구매 취약지 이동형 점포서 포장육 구매 가능” 입법예고
- [2024 국감] 국감 첫날부터 알리 대표 정조준…유해물질상품유통·짝퉁 집중 질의
- 식약처, 싱가포르와 글로벌 신소재 식품 시장 공략 ‘맞손’
- “뷰티박스 10초 완판”…알리익스프레스, 기획전 ‘호응’
- 서울시 “테무·알리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제품에 유해물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