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국토교통부는 건설엔지니어링 분야의 제2기 종합심사낙찰제(이하 종심제) 통합평가위원회 316명에 대한 구성안을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종심제는 설계, 건설사업관리 등 건설엔지니어링 기술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수행능력과 가격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2019년 3월 도입·운영됐다.
국토부는 제1기 위원회의 임기 만료를 계기로 그간 운영상 문제점 등을 개선하기 위해 제2기 위원회 구성과 제도개선을 추진했다.
특히 최근 종심제 관련 용역업체의 입찰 담합, 금품수수 등이 언론에 보도됐다. 업계에서도 로비 만연, 기술 변별력 부족 등이 지적됐다.
국토부는 이에 제2기 위훤회는 구성에서부터 운영 전반에 있어 청렴성 제고를 최우선으로 두고 유례없는 4단계 검증을 추진했다.
다음달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이번 제2기 종심제 통합평가 위원회는 총 4단계 검증을 통해 구성했다.
먼저 제1기 위원회와 달리 자천(自薦)을 금지하고 공공기관과 국립대, 주요 학회 등 기관장 추천을 받도록했다. 각 기관에서 추천한 1,341명의 후보자를 대상으로 1차 서류 검증에서는 자격요건(경력, 학위, 기술사 자격증 등)을 확인했다.
2차 검증에선 기관별 감사·인사부서 협조를 통해 성실·품위유지 의무 위반, 수사 진행 중인 사람 등을 제외했다. 3차에선 총 6회의 세부 평가위원회를 열어 심의 이력과 타위원회 활동 내역 등을 검토했으며 4차 검증에선 각종 심의 사후평가 결과 등을 토대로 후보자에 대한 추가 검증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총 316명(1,341명 중 24%)를 선정했다.
1기 위원회는 50대가 74.1%로 대다수였으나 제2기 위원회는 40대 비중이 38.6%로 2배 이상 늘었다. 그동안 한 번도 건설 심의에 참여한 적 없는 신규 위원도 대거 진출하면서 앞으로 보다 공정한 심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공정한 심의를 통해 기술력있는 업체가 사업을 수주하는 등 종심제가 본연의 취지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과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해 나갈 것”이라며 “건설업계가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심의위원, 입찰업체, 발주청이 건전한 입찰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