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아파트 착공 54% 줄어…미분양 5개월 연속 감소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올해 1∼7월 전국의 주택 착공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이 기간 인허가는 30% 줄어 앞으로 주택 공급난으로 부동산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만7,278호로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29.9% 감소했다. 아파트 인허가가 17만8,209호로 24.9%,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2만9,069호로 50.3% 줄었다.
7월 한 달간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501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4% 줄어든 수치다. 올해 1∼7월 누계 착공 물량은 10만2,299호로 54.1% 줄었다. 수도권 착공은 5만3,968호로 53.7%, 지방은 4만8,331호로 54.6%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7만7,091호로 54% 줄었다. 다만 올해 1∼7월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1만8,618호로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2.1% 늘었다. 부동산 경기가 좋을 당시 착공했던 물량이 완공되며 증가 추세가 이어지는 것이다.
반면 최근에는 착공물량이 줄어든만큼 향후 주택 수급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상 주택은 착공 후 2∼3년 뒤, 인허가 3∼5년 뒤 공급(입주)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최근 주택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금리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연장 등 자금 조달을 지원해 민간 공급 여건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7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6만3,087호로 전월보다 5.0%(3,301호)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이 8,834호로 16.3%(1,725호) 감소했고, 지방 미분양도 5만4,253호로 2.8%(1,576호) 줄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에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달 9,041호로 전월보다 3.8%(358호) 줄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미분양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서울 미분양은 1,081호로 100호 감소했고, 경기는 6,541호로 685호 줄었다. 인천 미분양(1,212호)은 940호 줄어 수도권 미분양 감소 물량이 전체의 52%를 차지했다.
미분양 감소에는 분양 물량 자체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7월까지 누적 공동주택 분양은 전국 7만9,631호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4.4% 줄었다. 수도권 분양이 31.7%, 지방에선 55.0%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