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중소상공인(SME) 겨냥한 광고 서비스 제공
구글, 생성형AI 접목한 유튜브 광고 영역 확대 추진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네이버와 구글이 한국 시장을 무대로 상호 경쟁에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쇼핑 분야 등 국내 포털시장에서 독보적인 지배력을 가진 네이버를 상대로 지난 2월 개발된 AI챗봇 ‘바드’를 웹에 적용하는 등 유튜부라는 강력한 무기를 갖추고 있는 구글이 얼마나 국내 시장에서 약진할 수 있을지 귀추가 쏠리고 있다.
◆ 네이버, AI로 맞춤형 쇼핑 서비스 제공…생성형AI ‘추천 이유’ 설명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쇼핑 고객 활동 이력을 바탕으로 원하는 상품을 추천하고 추천 이유까지 알려주는 ‘맞춤형 블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달 20일 AI 상품 추천 기술 ‘에이아이템즈’를 자체 개발하고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결합해 쇼핑 검색에 적용한 바 있다.
네이버에서 쇼핑 검색을 담당하는 박준효 기획자는 “네이버 쇼핑에서는 앰배서더 활동과 데이터를 통해 중소상공인(SME)들이 각 성장 단계별로 브랜딩 자산을 구축하고 플랫폼 역량을 확보하는 등 어려움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단계별 맞춤 지원을 위해 네이버는 브랜드 부스터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SME를 겨냥한 것은 다른 국내 기업들이 중소기업보다는 주요 기업간 거래(B2B) 형태로 AI사업을 진행중이고, 네이버 쇼핑에 입점한 업체 중 상당수가 SME이어서, 이들이 다양한 B2B 솔루션을 원하고 있어서라고 설명했다.
지난 16일 열린 ‘프로젝트 꽃 임팩트’ 토론에서 이재현 네이버웍스 기획자는 “실제 스케일업 과정에 있는 SME가 클라우드와 웍스의 다양한 B2B 솔루션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꽃 앰배서더 활동을 통해 만난 식음료(F&B)나 공간 사업자들도 조직 관리에 대한 고민을 정말 많이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네이버 투자 계열사인 D2 스타트업 팩토리는 최근 생성형AI 산업분야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네이버는 지속적인 스타트업 발굴을 통해 해당 분야 강화에 나선 다는 방침이다. 모집 분야는 ▲AI 반도체 인프라 스타트업 ▲파운데이션 모델 AI 경량화 등 데이터·모델 처리 스타트업 ▲생성 AI를 활용해 각 산업에 최적화한 애플리케이션 만드는 스타트업 등이다.

◆ 구글, 7월 MAU 조사에서 유튜브 '2위'…월간 총 사용시간 '1위'
구글은 자체 웹 외에도 영상 플랫폼 유튜브를 앞세워 국내 대표 웹·모바일 서비스 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를 추격하고 있다.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월간실사용자수(MAU) 조사에서 카카오톡(4,155만8,838명)이 1위, 구글 유튜브(4,115만7,718명)는 2위로 카카오 뒤를 이었다. 둘의 격차는 40만1,120명으로 지속적으로 좁혀지는 추세다.
월간 총 사용시간에서도 지난달 국내에서 모바일로 유튜브를 본 총 사용시간은 15억2,920만시간으로 2위를 기록한 카카오톡(5억1,876만시간)보다 10억1,044만 시간이 더 많았다. 3위를 기록한 네이버(3억4,554시간)보다는 4.4배나 높았다.
웹 기반 검색엔진 시장에서도 네이버 점유율은 50%대로 하락했지만 구글은 30%대로 상승했다.
구글은 지난 2월 개발된 AI챗봇 ‘바드’ 외에도 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에 크리에이터를 위한 새로운 생성형AI를 탑재할 뜻을 내비쳤다.
지난 3월 닐 모한 유튜브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앞으로 몇 달 내 AI 생성 기능을 통해 동영상에서 가상으로 옷을 갈아입거나 SF 같은 배경을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라며 “AI의 힘은 동영상에서 다른 이미지를 만들고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이제 막 떠오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구글 코리아 유튜브 관계자는 “아직 새로 업데이트된 내용은 없다”며 “AI 기술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 과기정통부-구글, AI 협력…‘인공지능 위크’ 개최
- 네이버클라우드-AI양재허브, AI 스타트업 성장지원 업무협약 체결
- 네이버클라우드 파파고 앱 이용자수 1천만명 돌파
- 구글, 휴면 계정 올 12월부터 삭제 조치
- LG CNS,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즈 ‘판매·서비스’ 2개 부문 수상
- 애플 '아이폰15'는 9월, 구글 '픽셀8'는 10월 순차 출시
- 한국IBM, 테크 서밋 서울 2023 컨퍼런스 열어
- "한국 유튜브 채널 동영상 시청시간 30% 이상 해외"
-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X 기반 기업용 솔루션 출격
- 구글플레이, 올해를 빛낸 수상작 2023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