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개발한 전기자동차 헤드램프용 3225 MLCC(왼쪽)와 BMS용 3216 MLCC. ⓒ삼성전기
▲삼성전기가 개발한 전기자동차 헤드램프용 3225 MLCC(왼쪽)와 BMS용 3216 MLCC. ⓒ삼성전기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삼성전기가 하이엔드급 전기자동차의 전장용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전기는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세계 최고 용량의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 2종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MLCC는 전자제품의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부품이다. 특히, 자동차에는 동력전달, 안전, 주행, 인포테인먼트 등에 최소 3,000~1만개의 MLCC가 탑재된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MLCC는 온도에 따른 용량 변화율이 250V급 33나노패럿(nF)과 125℃용 100V급 10마이크로패럿(µF) 용량을 가진 제품 2종으로, 동급의 전압 MLCC 중 업계 최고 용량을 구현한 제품이다.

각 제품은 전기차 핵심 장치인 전동화 시스템과 발광다이오드(LED) 헤드램프에 사용된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온보드 충전기(OBC) 등과 같은 높은 전압의 배터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MLCC는 초고속 충전과 동력 전달을 위해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고출력의 전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또, 반도체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고용량 특성도 갖춰야 한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250V급·33nF MLCC는 동일 전압 수준에서 업계 최고 용량을 자랑하는 제품으로, 높은 전압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면서 배터리 모듈 내부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해 배터리 안정성을 높여준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MLCC 2종은 자동차 전자 부품 신뢰성 시험 규격인 AEC-Q200을 충족해 차량 내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섀시(Chassis), 인포테인먼트와 같은 다른 응용처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삼성전기는 MLCC의 핵심 원자재를 자체 개발·제조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설비 내재화와 생산능력 강화로 전장용 MLCC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