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카메라 탑재…자율주행 반도체 전력 공급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삼성전기가 전기차·자율주행차의 필수 핵심 부품인 파워인덕터를 양산한다. 전장용 파워인덕터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위해서다.
삼성전기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차 카메라에 탑재되는 파워인덕터를 양산한다고 16일 밝혔다.
제2의 MLCC로 불리는 파워인덕터는 전원 회로에 적용돼 배터리로부터 오는 전력을 반도체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시켜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자부품이다.
자동차 한 대에 필요한 파워인덕터는 100여개가 넘는다. 스마트폰(50여개) 대비 2배 이상 쓰인다. 2030년에는 자동차에 필요한 파워인덕터 수가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파워인덕터 성능은 일반적으로 원자재인 자성체와 내부에 감을 수 있는 코일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성능 향상을 위해 자성체 특성 개선과 코일 수를 늘리는 것이 필수적이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파워인덕터는 2016크기(2.0㎜X1.6㎜)에 각각 1.0마이크로헨리(uH), 2,2uH 용량을 가진 제품 두 종류다. 이 제품은 기판 위에 얇은 코일을 형성한 박막형 제품이다. 자성체에 코일을 감는 권선형보다 생산성이 높고 소형화에 장점이 있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은 “파워인덕터는 자율주행과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고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삼성전기는 소재와 기판 등 기술 융복합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파워인덕터를 제2의 MLCC로 육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워인덕터 시장은 전자기기의 고성능·다기능화에 따른 수요 증가와 자율주행 및 전기자동차 등 자동차 산업의 확장으로 고성능의 제품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할 것이란 전망치가 나왔다. 삼성전기에 의하면 파워인덕터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36억5,000만달러(4조원) 규모로 연 평균 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