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찬 계룡건설 회장과 황태운 클린에어스 대표(왼쪽)가 공기정화모듈 특허 및 제품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계룡건설
▲이승찬 계룡건설 회장과 황태운 클린에어스 대표(왼쪽)가 공기정화모듈 특허 및 제품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계룡건설

카이스트 창업기업 클린에어스와 공동개발

공기정화모듈 특허 및 제품 상용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계룡건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경영 확대 일환으로 미세먼지와 세균, 바이러스를 정화할 수 있는 세대환기시스템을 개발하여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계룡건설은 11일 대전 탄방동에 위치한 계룡건설 사옥에서 이승찬 계룡건설 회장과 황태운 클린에어스 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공기정화모듈을 적용한 세대환기시스템 공동개발 및 특허 등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계룡건설과 클린에어스는 최근 기존 청정환기시스템에 대면적 플라즈마 필터를 적용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공기정화모듈을 공동 개발하여 특허 등록을 앞두고 있다.

계룡건설은 이번 MOU를 통해 이번 공기정화모듈 기술을 적용한 공동주택 세대 환기시스템 제품을 개발하고 엘리프 단지뿐만 아니라 타 단지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제품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기존의 환기시스템은 대부분 프리필터, HEPA필터를 거쳐 공기가 유입되는 방식으로 주로 먼지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바이러스까지 제거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 개발을 위해 다양한 살균기술을 접목하고 있는 추세이다.

살균기술 중 주로 사용하는 기술은 자외선(UV) 기술과 광촉매 기술이다. 기존의 자외선 기술(UV램프, UV-LED)은 주로 칫솔살균기, 컵소독기와 같은 고정된 물체에 일정 시간 이상 자외선을 조사하여 바이러스를 살균하는데 적용이 되어 왔다. 광촉매 기술은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광촉매에 자외선 빛을 조사하여 광반응을 일으키는 기술로 주로 탈취 목적으로 사용됐다.

최근에는 공기살균에도 적용되고 있으나 공기와 같이 고정되지 않고 흐르는 유체에는 자외선 빛이 조사되는 시간이 짧아 살균의 효율성이 떨어져 공기살균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기술이다.

계룡건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클린에어스와 함께 HEPA필터를 통한 초미세먼지 제거 후 대면적 플라즈마 필터를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식을 개발하게 됐다.

대면적 플라즈마 필터 기술은 필터 타입의 플라즈마 발생기로 필터의 공기통로에서 각각 플라즈마 반응이 일어나며 공기 중 산소, 물과 반응해 수산기(OH radical)와 같은 산소활성종이 만들어진다.

플라즈마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만나 공기 중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때문에 기존의 살균 기술보다 공기살균에 효과적인 기술이다. 또 오존 억제 기술을 통해 오존 프리(free)로 배출하게 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FDA에서 인정받은 기술인 플라즈마를 세대환기시스템에 도입한 이번 기술로 계룡건설 엘리프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생활공간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