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사 협업 기반 유럽 폐배터리 재활용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 구축 예정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SK에코플랜트가 국내 친환경사업 및 이차전지 소재 선도 기업인 에코프로,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인 테스(TES)와 전방위 협력을 통해 유럽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국내 1위 배터리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 자회사 전기‧전자폐기물(E-waste) 전문기업 테스와 ‘유럽 지역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0일 밝혔다.
이들은 유럽 지역의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위해 전기차 폐배터리 및 스크랩(배터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폐배터리 물량 확보와 더불어 배터리 소재까지 연계하는 등 순환경제 시스템 구축 업체가 강력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3사는 유럽 현지서 폐배터리 재활용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를 구축하고, 각 사의 강점을 토대로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해 유럽 폐배터리 시장을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SK에코플랜트‧테스가 가진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에 에코프로가 가진 폐배터리 재활용 및 소재 기술력이 더해지면 헝가리, 독일 등에 거점을 둔 국내외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를 상대로 물량확보를 위한 협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3사는 폐배터리에서 회수한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희소금속으로 다시 배터리를 제조하는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를 구축해 전 세계 환경‧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폐배터리에서 불순물만 따로 제거한 후 전구체까지 바로 생산하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미국 어센드 엘리먼츠(Ascend Elements)에 투자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한 바 있다.
어센드 엘리먼츠는 지난해 10월 이미 에코프로와 배터리 재활용 소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에코프로의 양극재에 재활용 소재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인증 등을 위해 협력 중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의 생산 거점이 집결된 유럽은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가장 먼저 개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굉장히 중요한 지역”이라며 “에코프로, 자회사 테스와 협력을 통해 유럽 지역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가속화하고, 이를 통해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는 “2050년 폐배터리 시장이 600조까지 커질 전망으로 유럽 배터리 및 완성차 고객들의 리사이클에 대한 수요는 매우 분명하고 구체적”이라며, ‘‘특히 이번 달 ‘유럽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불리는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이 발표될 예정으로, SK에코플랜트, 테스와의 리사이클 협력을 바탕으로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 [SR건설부동산] SK에코플랜트 테스, 태국 2위 그룹과 ESS 시스템 협업모델 구축
- [SR재계]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대통령 특사로 유럽 3개국 유치활동 전개
- [SR건설부동산] SK에코플랜트·DL이앤씨,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에 전방위 지원
- [SR건설부동산] SK에코플랜트, 음식물폐기물 가스 연료전환 ‘착수’
- SK, 동남아 차량공유 사업 확장 가속화
- SK오션플랜트·코리오제너레이션, 글로벌 해상풍력 추진 ‘맞손’
- SK에코플랜트, 남미·동남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개발
- 현대엔지니어링·SK에코플랜트·USNC, 수소 마이크로 허브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