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에스알)타임스 조인숙 기자] 평균 수명의 증가로 인해 중·장년층 사이에서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원활한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무릎관절염 수술은 큰 고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노후에 선택이 아닌 필수로 여겨지는 인공관절수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후유증이나 비용 등에 대한 두려움은 상존한다. 다행히도 최근에는 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첨단의료기술의 발달로 이 같은 걱정을 덜 수 있는 다양한 수술방법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무릎관절염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만 선택한다면 빠른 시일 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손상된 연골 부위가 너무 커 이를 모두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슬관절 전치환술’, 체중이 부하되는 무릎 안쪽과 같은 한쪽의 연골이 마모된 곳을 선택적으로 수술하는 ‘슬관절 반치환술(부분치환술)’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관절의 건강한 부분은 최대한 보존하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덕분에 관절 운동의 각도가 좋아져 무릎을 구리기가 쉽고 방바닥에 앉거나 쪼그려 앉을 수 있을 정도로 가동성이 회복된다.
인대를 포함한 본래 관절을 최대한 보존해 위치 감각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부분치환술의 장점이다. 또한 전치환술과 비교해 피부절개 부위가 짧고 수술 후 출혈도 적어 기능 회복은 물론 입원 및 재활기관이 짧아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수술방법 중 하나다.
그럼에도 기존 부분치환술이 걱정된다면 ‘환자 맞춤형 부분치환술’을 고려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 수술방법은 반대편 무릎에 가는 부담을 줄여 퇴행성관절염을 늦추고 정밀한 하지정렬로 인공관절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시뮬레이션(가상수술)과 3D 프린팅 기술이 접목된 덕분에 기존 수술보다 단축된 시간 내에 더욱 정확한 수술의 시행이 가능하다.
환자 맞춤형 부분치환술은 기존 부분치환술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서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수술방법이기도 하다. 기존 수술방법은 인공관절 수명이 15년 미만으로 짧고 수술 후 반대편 무릎에 하중이 집중돼 퇴행성관절염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연세사랑병원이 'Bone & Joint Research‘ 2018년 1월호에 게재한 이 수술법과 관련한 연구결과(Patient-specific medial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has a greater protective effect on articular cartilage in the lateral compartment)에 따르면, 기존 부분 치환술의 인공관절보다 환자 맞춤형 부분 인공관절을 사용했을 때, 수술 후 반대편에 하중이 줄어들 수 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인공관절수술은 무릎 각도를 맞추는 등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전문의료진이 수술을 집도해야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연령대가 비교적 젊지만 인공관절이 필요한 환자나 기존 수술방법이 꺼림칙했던 경우, 환자 맞춤형 부분치환술이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