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손보사 대거 인상… 더케이손해보험 영업용 차량 보험료 19.1% 인상

[SR타임스 조영란 기자] 올 상반기 서민들이 생계용으로 이용하는 영업용 차량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더케이손해보험은 영업용 차량 보험료를 19.1%나 인상했다.

 

금융감독원은 삼성화재, 푸르덴셜생명 등 시중 12개 손해보험사들이 손해율 상승으로 수익성 위협을 이유로 영업용 또는 업무용, 개인용 자동차 보험료를 대거 인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영업용 차량은 버스, 택시, 화물차 등으로 보험료 인상 대상자는 생계난을 겪는 영업용 차량 운전자가 많은데, 보험사 중 더케이손해보험은 올 상반기에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가장 높은 19.1% 인상했다. 

 

이어 LIG손해보험(14.9%)과 삼성화재(14.5%), 한화손해보험(13.7%), 동부화재(10.8%), 메리츠화재(10.5%)도 10% 이상 인상했다. MG손해보험(2.1%)과 롯데손해보험(7.7%)도 이번 영업용 자동차 보험료 인상에 동참했다.

 

반면 흥국화재나 AXA손해보험, 하이카다이렉트는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동결해 대조를 이뤘다.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가장 많이 올린 보험사도 더케이손해보험으로 인상률이 3.4%였다. 하이카다이렉트(2.8%)와 흥국화재(2.2%), 롯데손해보험(2.1%) 역시 개인용 자동차 보험료 인상 폭이 큰 편이었다. AXA손해보험과 한화손해보험은 각각 1.6%씩 올렸다.

 

삼성화재와 동부화재, 현대해상, LIG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는 손대지 않았다.

 

업무용 자동차보험료의 경우 올해 상반기에 현대해상이 손해보험사 중 가장 많은 4.1%를 올렸다.

 

이어 메리츠화재(3.7%), 동부화재(3.6%), 한화손해보험(3.5%), LIG손해보험(3.3%), 더케이손해보험(3.3%), 흥국화재(3.0%), 롯데손해보험(2.9%), MG손해보험(2.3%)도 올 상반기에 업무용 자동차보험료를 2~3%씩 인상했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 등 금융당국은 경영난에 처한 중소 손해보험사의 자동차 보험료 인상은 허용하되 대형사의 인상은 될 수 있으면 억제하는 방향으로 지도할 방침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