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항소 포기'로 검찰 내부에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12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대장동 항소 포기'로 검찰 내부에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12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14일 퇴임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를 둘러싼 검사 징계 논의는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검찰청 폐지를 추진하는 정부·여당을 향해서도 “충분한 논의 없이 제도 해체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우려를 드러냈다. 항소 포기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그는 끝내 경위 설명 없이 조용히 청사를 떠났다.

노 대행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에서 열린 비공개 퇴임식에서 “검찰이 범죄로부터 국민을 지켜온 진심이 제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형사사법체계 개편 과정에서 국민의 선택권은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 수사 이후 검찰에서 다시 사건을 살펴봐 주기를 바라는 국민의 요구가 없겠는지 고민해야 한다”고도 했다.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이후 전국 검사들의 거취 표명이 이어지자, 그는 내부 문제 제기를 ‘항명’으로 몰아가는 정치권을 향해 “안타깝다”고 했다. “검찰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조직의 미래를 생각해 물러나는 만큼, 검사 징계 논의는 중단해달라”며 마지막 메시지를 남겼다.

정부·여당의 검찰개편 추진에 대한 불만도 감추지 않았다. 그는 “검찰청 폐지를 서두르면서 국민 불편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검찰 권한이 크게 축소되는 내년 10월 개편을 앞두고 “갈등보다 힘을 합쳐야 한다”고 조직 결속을 당부했다.

노 대행은 이날 오후 청사를 떠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진퇴 문제와 항소 포기 경위에 대해선 끝내 입을 열지 않았다. 하지만 전날 자택 앞에서는 “저쪽에서는 지우려고 하고, 우리는 지울 수 없어 많이 부대꼈다”는 말을 남겨 외압 논란의 불씨는 남겼다.

국민의힘은 “사퇴로 회피하지 말고 ‘외압’의 실체를 밝히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이 이날 검찰총장을 일반 공무원처럼 파면할 수 있도록 하는 검찰청법 개정안을 발의한 데 대해서도 “범죄자주권 정부”라고 비판했다.

검찰은 ‘대행의 대행’ 체제로 전환된다. 최선임 부장인 차순길 기획조정부장이 직무를 맡을 전망이다. 노 대행은 지난 7월 대검 차장에 임명된 뒤 넉 달간 검찰 수장 역할을 해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