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기업 급성장 및 글로벌 경쟁 심화 대비 위해 경쟁력 지속 강화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3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전담하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이하 혁신공정사업)'의 운영위원회를 열고 그간의 주요성과와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운영위원회는 산학연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해 지난 7년간의 ▲특허·논문·매출 등 정량성과 현황 ▲참여기업의 사업화 성공사례 ▲혁신공정센터의 운영방안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뤄졌다.
혁신공정사업은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OLED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기획된 사업으로, 총 200여개 기관이 협력해 74개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고성능·저가격 백플레인, 고효율·장수명 발광재료 등 단기간 추격이 어려운 ▲초격차 기술 확보와 초실감 XR기기 멀티모달 등 소비환경을 선제적으로 반영한 ▲미래시장 선점 등이 목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올 잉크젯(All-Inkjet)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잉크젯 OLED 디스플레이를, LG디스플레이는 최대 20%까지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등 초격차 기술 확보와 폴딩/롤링 평가시스템 등 폼팩터 관련 공정장비 기술 확보로 자립기반을 강화했다.
또한, 혁신공정사업을 통해 구축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중소·중견기업이 신소재·신공정을 조기에 검증하고 양산적용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 OLED공정 핵심장비를 포함한 총 65대 장비를 활용해 현재까지 총 39개사 210건의 기업지원이 이뤄졌다.
한편, 운영위원회에서는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의 대규모 지원에 따른 중국기업의 급성장과 글로벌 경쟁심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버팀목인 OLED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혁신공정사업의 성과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승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디스플레이는 단거리 승부가 아닌 마라톤처럼 긴 여정이 필요한 산업”이라며 “글로벌 초격차라는 결승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민간의 끈기 있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개발과 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산학연 협력기반의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실증 인프라와 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협회도 업계와 힘을 모아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