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 “복제폰 생성 위험성 면밀히 볼 예정”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KT가 24일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가 부실했다고 인정하며 문자 메시지(SMS) 등 모든 소액결제 인증 방식을 대상으로 피해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사당국은 KT 해킹으로 인한 복제폰 생성 가능성에 대해 꼼꼼히 살피는 한편 KT가 신고 지연 등 고의적인 은폐를 했다고 파악될 경우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히 조치하겠다고는 방침이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연 KT·롯데카드 해킹 사태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 대표는 펨토셀 설치·관리를 외주업체가 맡고 있느냐는 이상휘 의원(국민의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관리 부실이 사건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이 의원의 지적에 "인정한다. 그동안 관리가 부실했고, (폐기된 펨토셀을 활용해) 망에 붙지 못하도록 조치했다"고 했다.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KT가 ARS 인증만을 토대로 피해 규모를 소극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김 대표는 "분석에 시간이 걸려 일단 ARS 기반으로 분석했고 SMS 등 전체 인증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며 “피해 규모 파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KT가 인증키 등 복제폰 생성을 위한 주요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위험성이 있지 않으냐"는 박정훈 의원(국민의힘) 질의에 "그런 부분까지 면밀히 보겠다"고 대답했다.
- 김승주 교수 “사이버 보안, 탐지·방어·무력화 3축 체제 구축해야”
- KT “개인정보 유출 2만여명 위약금 면제 적극 검토”
- 해킹 사태 늑장 대응·은폐 의혹…청문회서 질타 받은 KT
- 이훈기 “KT 서버 폐기 말바꾸기는 증거인멸 위한 범죄”…김영섭 “해킹 은폐 의도 없어”
- 김영섭 KT 대표 “펨토셀 18만대 관리 부실 죄송”
- 윤종하·조좌진·김영섭, 대규모 해킹사고 청문회 참석
- 최수진 의원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11차례 걸쳐 말 바꿔”
- KT, 협력사 납품대금 1859억원 조기 지급
- 통신사 해킹발 '징벌적 과징금' 도입 문제점 없나
- 산업별 ‘칸막이 K-보안 체계’…사이버보안청 신설 고려할 만
- [2025국감] 과기정통부 “KT, 소액결제·해킹 사태 정부 조사 방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