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지난 8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7,000억원 증가하며 전년 동월(9조7,000억원) 대비 증가 폭은 줄었지만, 전월(2조3,000억원) 대비 두 배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6·27 가계대출 규제와 개별 은행의 대출 총량 관리에도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난 것이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5년 8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4조1,000억원 증가하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9,000억원, 전세자금대출은 4,000억원 늘었다. 비대면 대출 재개 영향으로 기타대출도 3,000억원 증가했지만, 신용대출 한도 축소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은 제한적이었다.
한은은 “5~6월 늘어난 주택 거래가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됐다”며 “10월까지 영향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5월 2만2,000호, 6월 3만1,000호로 급증한 뒤 7월 1만4,000호로 줄었으나, 8월 주담대 증가폭은 전월보다 확대됐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통계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4조7,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이 4조2,000억원을 차지하며 증가세를 주도했고, 2금융권은 6,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1,000억원 증가해 7월보다 9,000억원 확대됐고, 기타대출은 감소 폭이 전월보다 크게 줄었다.
기업대출도 크게 늘었다. 은행 기업대출은 8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 3조4,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2.5배 확대됐다. 중소기업대출은 4조5,000억원, 대기업대출은 3조8,000억원 늘었다.
한은은 “은행 대출영업 확대와 기업의 자금 수요가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수신도 큰 폭으로 늘었다. 은행 수신은 32조9,000억원 증가했으며, 수시입출식예금 18조1,000억원, 정기예금 12조2,000억원 늘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15조7,000억원 증가했고, MMF 1조원, 채권형펀드 6조8,000억원, 주식형펀드 2조2,000억원, 혼합형 및 기타 4조9,000억원 유입됐다.
한은은 “9·7 부동산 대책은 시간을 두고 효과를 지켜봐야 하지만, 주택시장 불안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책이 차질 없이 추진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