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TA·KCIA, 국내 표준 전략 수립 본격화…연말까지 3대 분야 기술·표준 연구 추진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와 한국컴퓨팅산업협회(회장 윤영태, 이하 KCIA)는 지난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인공지능(이하 AI) 데이터센터 전문가 협의회(이하 협의회)’ 출범회의를 개최하고, 국내 AI 데이터센터 표준화 전략 수립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생성형 AI 기술 발전과 전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이 가속화되면서, 범용성에 중점을 두었던 기존 데이터센터와 달리 고집적·고효율 컴퓨팅 환경을 요구하는 ‘AI 데이터센터’가 급부상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는 AI 연산에 최적화된 고성능 컴퓨팅, 전력, 냉각, 네트워크 등 인프라를 갖춘 데이터센터를 뜻한다.
이 과정에서 시스템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열폭탄’ 문제와 함께 상호운용성, 에너지 효율성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신규 기술 표준에 대한 수요 또한 커지고 있다. 이번 협의회는 표준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AI 기술 주권의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의회에는 SK텔레콤, 오케스트로 등 AI 데이터센터 관련 핵심 기업 8개사를 비롯해, ISO/IEC JTC 1/SC 39(지속성, IT 및 데이터센터) 등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활동 중인 학계와 연구기관, 관련 협회 전문가들이 참여해 향후 국내 표준화 논의를 함께 이끌어 갈 예정이다. 한편, 협의회는 나연묵 단국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고 향후 구체적인 운영 계획과 핵심 연구 분야를 확정했다.
이날 출범회의에서는 SK텔레콤이 ‘국내 AI 데이터센터 산업 동향’을 발표하고 JTC 1/SC 39 국제표준 전문가인 황수찬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AI 데이터센터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는 등 국내외 기술 및 표준 현황을 공유했다.
협의회는 올해 12월까지 ▲에너지 효율화 등 전 세계적 과제인 지속가능성(전력, 냉각) 기술 뿐만 아니라 ▲고성능 AI 연산 처리를 위한 HW(컴퓨팅, 스토리지), ▲AI 모델의 효율적 개발과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AI 프레임워크, MLOps) 등 3대 핵심 분야의 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기로 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산업계의 입장을 반영한 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월 1~2회의 정기 회의와 공개 기술 세미나를 병행하여 개최할 예정이다. 나아가 내년에는 협의회 활동을 확대·발전시킨 ‘(가칭)AI 데이터센터 포럼’ 신설을 추진하는 데에도 뜻을 모았다.
한편, 이 협의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정보통신방송 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지원됐다.
손승현 TTA 회장은 “AI 데이터센터는 여러 기술이 집약된 만큼,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의회가 산업 현장의 요구를 기민하게 반영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표준의 기틀을 마련하고, 다양한 핵심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해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