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엽 롯데이노베이트 대표가 1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쇼케이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김경엽 롯데이노베이트 대표가 1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쇼케이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18일 AI 쇼케이스 개최…오는 8월 '아이멤버 3.0' 공식 론칭

보고서·회의록·챗봇 자동화 기능 강화…'맞춤형 AI 플랫폼' 진화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롯데이노베이트가  8월 초 ‘아이멤버 3.0’을 공식 론칭하고, 그룹 외부 고객사 및 공공 분야로 AI 플랫폼을 확장해 연말까지 대내외 고객사 300여곳에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지난 18일 롯데이노베이트는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외부 고객사와 파트너사, 롯데그룹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AI 쇼케이스 및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 AI 기술 경쟁력과 아이멤버 3.0에 대해 소개했다. 

아이멤버는 2023년 10월 출시한 롯데이노베이트의 생성형 AI 서비스다. 롯데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라인업을 기반으로, 기업 내부 정보를 학습시켜 보안성과 성능을 갖춘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롯데그룹은 2024년 1월 아이멤버를 전 그룹사에 도입했고, 같은해 8월에는 사용자 경험(UX)과 인터페이스(UI) 개편, 기능 중심 메뉴 재구성, 롯데GPT 고도화, 신규 기능 추가 등 전면 개편을 단행한 ‘아이멤버 2.0’을 출시한 바 있다. 

김경엽 롯데이노베이트 대표는 “SI 업종에서는 가장 빠르게 서비스를 론칭했고, 이후 다양한 기술을 지속 반영해 버전을 업그레이드해왔다”며 “이번에는 6종의 에이전트 기능을 포함한 3.0 버전의 아이멤버를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아이멤버는 롯데그룹 전 계열사에 도입돼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1월 약 9,000명에서 출발해 매월 20% 이상 증가하며 지난 6월 기준 누적 사용자 수는 약 2만2,000명을 기록했다. 실제 업무에 적합한 메뉴와 기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며 사용자 활용성을 높인 것이 성장의 배경으로 꼽힌다.

2.0 출시 1년 만에 선보이는 ‘아이멤버 3.0’은 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AI 에이전트로 기능을 확장한 것이 핵심이다. 외부 침입 차단 및 데이터 유출 방지 기능을 갖춘 보안 구조를 탑재했으며, 검색, 보고서 및 회의록 작성, 이미지 생성 등 업무 목적에 따라 설계된 6종의 에이전트가 추가됐다. 여기에 일정 및 루틴 등 사용자 행동 기반의 퍼스널 AI 서비스도 새롭게 포함됐다.

이번 버전에 탑재된 업무 특화 AI 에이전트는 총 6종으로, ▲‘AI 비서’는 사내 지식과 외부 검색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챗봇을 지원하며, ▲‘AI 보고서’는 주제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보고서를 완성해준다. ▲‘AI 회의록’은 회의 내용을 요약·정리해 의사결정을 돕는다. 

이밖에도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비전 스튜디오’와 문장을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합성해주는 ‘보이스 메이커’, 복잡한 문서의 자동 검토를 맡는 '체크 메이트'가 포함됐다.

오현식 롯데이노베이트 AI 테크랩 실장은 “전 그룹사가 생성형 AI를 전면 도입한 사례는 드물다”며 “롯데는 화학, 호텔, 유통, 식품 등 다양한 사업군에 걸쳐 생성형 AI를 적용해 왔고 내재화된 AI 기술력과 산업별 적용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높은 안정성을 갖춘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18일 김경엽 롯데이노베이트 대표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18일 김경엽 롯데이노베이트 대표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현재 아이멤버는 롯데그룹 계열사를 포함해 약 100여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연말까지 300개사로의 확대를 목표하고 있다. 

김경엽 대표는 “아이멤버의 매출 규모를 정확히 공개하기는 어렵지만, 외부 비중을 지속 넓혀가고 있으며 그룹 내 안정성 확보 후 대외 확장 전략을 본격 추진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이멤버 외에도 데이터와 AI 융합 서비스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만큼 전체 외형의 20% 수준까지 대외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확보한 400건 이상의 유즈케이스와 사업 확장 경험을 통해 아이멤버의 인지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롯데이노베이트는 국가 주도의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프로젝트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참여도 적극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오현식 실장은 “2015년 AI 연구소를 설립해 꾸준히 AI 연구를 지속해왔고, 전략적으로 오픈소스 기반 연구를 이어왔다”며 “오픈소스를 활용한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스위칭 역량 측면에서도 누구보다 빠르다고 자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독자 AI 모델 사업 참여 방식은 주관사인지 참여사인지를 놓고 전략적으로 검토중인 상황”이라며 “모든 기업이 기회를 얻는 구조가 아니기에 내부 전략을 수립중이고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선정되기 위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