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송 문자에 URL·링크 등 일절 없어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금융감독원은 1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와 맞물려 정부나 카드사, 은행을 사칭한 문자 결제사기(스미싱)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이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스미싱이란 문자메시지와 피싱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를 대량 전송한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해 금융정보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카드사 앱․누리집, 콜센터․ARS와 지역사랑상품권 앱․ 누리집 등에 접속해 비대면(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 및 지방자치단체(주민센터)에서 대면(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비대면 신청 시 신청페이지에 스미싱 ‘주의’ 안내 문구를 포함하고,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은행 및 지방 자치단체(주민센터)를 통한 대면 신청 시 스미싱 ‘주의’ 안내도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스미싱 피해예방을 위해서는 국민비서 사전 알림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SNS 안내 문자를 받으면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정부는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쿠폰과 관련해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URL·링크)’가 포함된 문자 및 SNS를일절 발송하지 않을 예정이다.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으면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해야 한다. 만약 문자를 열람했거나 인터넷 주소를 클릭했다면 ‘스미싱 피해발생 시 행동요령’을 참고해 24시간 무료로 운영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전 7월 14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할 예정이다.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17개사)도 활용해 ‘스미싱 주의 메시지’를 같이 발송할 방침이다.
금감원 측은 “스미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며 “스미싱 유포지를 즉시 차단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피해 신고 접수 시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는 등 이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총력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