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신규 대출 70~80% 급감
저축은행 업계 의견 수렴해 금융당국에 건의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금융당국의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저축은행의 대출 승인율이 급감한 가운데, 저축은행업계가 비상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이날 오후 회원사를 대상으로 금융당국 ‘가계부채 관리 강화’ 관련 업계 의견 수렴을 위한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에는 상위 5개 저축은행(OK·SBI·웰컴·한국투자·애큐온)을 비롯한 주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관리 담당 임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적용 현황을 점검하고, 업계 차원의 대응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 업계의 대출 규제 완화를 공식적으로 건의할지 여부도 주목된다. 정부의 이번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저축은행들의 신규 대출 실행 규모는 평소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출규제 강화로 인해 전반적으로 신규 대출 실행이 줄어드는 추세다”라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실제로 (저축은행의 신규 대출 승인이) 70~80% 이상 줄어들었다”며 “2금융권 신용대출 고객은 1금융권 대출 한도를 초과해서 오게 되는 자영업자와 중저신용자가 대부분이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6월 규제 발표 이후 서민들의 급전 창구가 막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지난 2일 금융당국은 몇 가지 예외 사항을 추가했다. 연 3,500만원 이하 소득자의 신용대출이나 상속 등으로 불가피하게 대출 채무를 인수하게 되는 경우 한도 산정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아울러 햇살론,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같은 서민금융 상품이나 결혼, 장례, 출산, 수술 등 긴급 생활안정자금도 신용대출 한도에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
이 같은 규제 완화 조치에도 일각에서는 서민의 급전 창구가 막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의 규제는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를 억제하려는 성격이지만, 정작 2금융권을 찾는 사람들은 서민의 급전 창구로 불리는 ‘카드론(장기카드대출)’ 등 긴급자금을 필요로 하는 이가 많아서다. 금융권에 따르면 전체 가계부채에서 저축은행 업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2~4% 규모다.
금융권 관계자는 “2금융권을 찾는 고객들은 금리보다 대출 가능 여부 자체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큰 돈이 아닌 수백만원의 생활금과 같은 긴급자금을 필요로 하는 분들”이라며 “금융당국이 강조하는 서민금융의 방향이 실제 중저신용자들의 실제 현실 상황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반영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