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라이선스 갱신 지연 속 더 지체될 듯
FIU 가상자산검사과장도 ‘공석’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고파이 사태가 두 해를 넘긴 가운데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고팍스가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선스 갱신 세 번째 대상이지만 첫 대상인 업비트의 갱신이 지지부진해 결과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소관부서인 FIU의 가상자산검사과장도 올해 초 공석이 된 이후 아직까지 임명이 되지 않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FTX의 파산 여파로 고파이 예치 자산을 실제로 운영해 왔던 가상자산 대출기업 제네시스가 원금 상환 중단 결정을 내렸다.
고팍스는 고파이 투자자의 자산을 상환받기 위해 제네시스와 협상해 왔으나 끝내 제네시스가 파산하면서 고팍스가 채무를 떠안게 됐다.
문제는 그사이 비트코인의 가격이 치솟았다는 점이다. 고팍스는 당시 가격대로 비트코인 1개당 2,800만원 기준으로 잔여 미지급금을 현금으로 상환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고파이 채권단은 당시 예치했던 비트코인을 그대로 돌려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글로벌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비트코인의 가격은 1억 2,896만원 수준으로 당시 보다 6배 가까이 올랐다.
따라서 고팍스는 고파이 채무 금액에 대해 채권단과 합의가 되어야 한다. 다만 고팍스와 채권단은 지난해 6차례나 협의를 진행했으나 아직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렇듯 유동성 위기를 겪는 고팍스에 구원의 손길을 내민 게 지난해 중국계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다. 이에 고팍스는 지난해 3월 최대주주를 바이낸스로 바꾸는 내용의 사업자변경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했지만 아직 계류돼 있다. 금융위가 바이낸스의 고팍스 지분율을 10% 이하로 줄일 것을 요구했지만 이 역시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바이낸스의 고팍스 지분율은 67.45%다.
가상자산사업자(VASP) 첫 갱신 대상인 업비트가 지지부진해 결과를 알 수 없다는 점도 사태 장기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업비트는 FIU의 심사를 지난해 8월부터 이어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답보상태다.
고팍스는 업비트 코빗에 이은 세 번째 갱신 대상이기 때문에 지난해 말 가상자산사업자 갱신신고를 신청한 이후 현장 검사까지 받았지만 금융 당국의 신고 수리가 언제 될지는 미지수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팍스는 고파이 문제가 해결되면 갱신신고가 바로 가능할 것”이라며 “다만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협상 과정에서 고파이 채무가 발목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일련의 업무를 관할하는 FIU의 가상자산검사과장도 올해 초 공석이 된 이후 새 담당자가 임명되지 않은 상태다.
고팍스 관계자는 "고파이 채무는 바이낸스가 투자계약 후 이용고객들의 피해 복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부분 ”이라며 “현재 가상자산사업자 갱신신고를 제출한 상황으로 가상자산사업자를 갱신받아 회사가 정상화에 돌입하게 되면 고파이 이용 고객들의 채무를 변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 고팍스와 바이낸스는 정상화 즉시 고파이 채무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