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찰예정자·입찰가격 등 합의…과징금 52억원
한샘, 연속 담합 ‘불명예’…김유진 대표 부담 커질 듯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반도건설이 발주한 총 38건의 빌트인 특판가구 구매 입찰에서 13개 가구 제조·판매업체들(이하 가구업체들)이 약 8년간(2014년 1월~2022년 3월)사전에 낙찰예정자를 합의하거나 투찰가격 공유 방식으로 담합한 행위에 대한 시정명령을 내렸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가구 업체는 한샘, 현대리바트, 에넥스, 넵스, 선앤엘인테리어, 에몬스가구, 매트프라자, 우아미, 우아미가구, 리버스, 동명아트, 한특, 위다스 등 13개다. 이들 업체에 부과되는 과징금은 총 51억 7,300만원이다.
빌트인 특판가구는 대규모 공동주택 사업에서 건설사 및 시행사에게 공급되는 빌트인가구로 싱크대, 붙박이장처럼 신축 아파트·오피스텔 등에 설치된다.
반도건설은 가구업체들의 입찰 참여 실적·신용평가 결과 등을 고려해 입찰참여업체를 지명하는 제한경쟁입찰을 실시해 최저가 투찰 업체와 계약했다.
가구업체들은 저가수주를 방지하기 위해 입찰 전 모임 또는 유선연락을 통해 사전에 낙찰예정자를 결정하고 이메일, 카카오톡 등을 통해 견적서를 공유함으로써 투찰가격을 합의했다. 또한 낙찰예정자를 명시적으로 합의하지 않고 견적서 교환을 통해 입찰가격을 합의하기도 했다. 입찰가격이 기재된 견적서를 공유받은 업체는 그대로 또는 그보다 높게 투찰 하는 방식으로 합의를 실행했다. 이들은 연도별 모임을 통해 반도건설 홈페이지에 업로드되는 분양 현장 리스트를 토대로 각 가구업체의 선호를 고려해 현장별 낙찰예정자를 결정했다. 대부분의 업체가 모임에 참석했지만, 불참 업체가 있는 경우 유선으로 합의 내용을 전달했다.
합의 대상이 된 38건 입찰 모두에서 입찰가격이 공유됐고, 낙찰예정자 합의가 있었던 36건 중 32건을 낙찰예정자가 낙찰받았다. 이를 통해 낙찰예정자 또는 견적공유자인 업체는 낙찰확률을 높이거나 높은 순위를 확보할 수 있었고, 견적서 및 투찰가격을 제공받은 업체는 입찰참가자격 유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 사건은 국내 주요 가구업체들이 장기간에 걸쳐 입찰담합한 경우로서 관련매출액이 949억원에 달하여 대다수 국민들의 주거공간인 아파트의 분양원가 상승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는 게 공정위의 설명이다.
◆ 한샘, 연속 담합 불명예…김유진 대표 부담 커질 듯
공정위는 열흘 전 아파트에 설치되는 시스템 가구를 납품하는 20개 가구사가 약 10년간(2012년 2월~2022년 11월) 16개 건설사의 총 190건 시스템 가구 입찰에서 사전에 낙찰예정자와 입찰가격 등을 합의하고 이를 실행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을 부과했다. 20개 가구사에는 이와 함께 과징금 총 183억원(잠정)이 부과되는 한편 그 중 4개사(동성사·스페이스맥스·쟈마트·한샘)는 고발됐다. 한샘은 공정위로부터 연이어 담합 행위에 대한 제재를 받은 것이다.
이 같은 제재는 취임 3년차를 맞는 김유진 한샘 대표에게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PE)는 지난 2021년 말 롯데쇼핑과 함께 한샘 창업주 조창걸 명예회장 및 특수관계인 지분 27.7%(652만1209주)를 인수함에 따라 한샘의 최대주주가 됐다. 이후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한샘의 구원투수로 2023년 8월 김유진 대표를 선임했다.
한샘은 2021년 연 매출 2조2,312억원으로 최대치를 찍은 후 2022년 2조9억원, 2023년 1조9,669억원으로 내리막을 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2021년 693억원 흑자에서 2022년 217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김 대표가 투입돼 고강도 비용 절감에 나서면서 2023년 영업이익 19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비 1504.3% 증가한 312억원을 기록했으며 순이익 1,499억원으로 흑자 전환을 이어갔다. 다만 연속 담합이라는 불명예는 기업 이미지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 관계자는 “해당 사건은 국민의 보금자리인 아파트의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위법행위를 시정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며 “민간 건설사 발주 특판가구 입찰 담합 사건들에 연속해 처리한 이 사건 제재를 통해 가구업계의 고질적인 담합 관행이 근절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LTV 담합 재조사'…공정위, 국민·하나은행 현장조사
- 한전 발주 입찰 담합 10개 사업자에 391억원 과징금
- 공정위, 시스템욕실 설치공사 입찰담합 제재
- 공정위, 가격표시 미이행 헬스장에 과태료 부과 등 후속조치 검토
- 반도문화재단, 제6회 반도 가족사랑 그림·사진 공모전 개최
- 총수 딸 회사에 알짜땅 전매…대방건설 205억원 과징금
- 시공능력평가 71위 삼부토건, 법정관리 신청
-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건설사, 재건사업 단기간 내 수혜 '글쎄'
- 공정위, 롯데홈쇼핑·롯데지주·롯데웰푸드 현장조사 착수
- 공정위, 한화 '대리점 갑질' 혐의 재조사
- 반도건설,영남지역 산불 피해 복구 지원금 2억원 기탁
- 사모펀드 인수 4년 한샘, 성장 모멘텀 잃었나
- 한샘·에넥스·우아미 등 2조3,000억원대 담합 가구업체, 2심도 벌금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