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 원가율 증가세
시평 상위 10개 건설사 원가율 평균 90% 웃돌아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가 크게 오르면서 건설사가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 모습이다. 침체된 업황 속 건설사마다 원가율 관리에 나섰지만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인 1군 건설사들도 90% 이상 원가율을 기록하며 고전하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등에 따르면 원가율이 모두 공개된 지난해 3분기 기준 시평 상위 10개사의 평균 원가율은 91.3%로 나타났다. 2021년 86.9%, 2022년 89.4%였지만 2023년(91.6%)부터 90% 선을 넘은 것이다.
시평 10개사의 원가율을 살펴보면 ▲삼성물산 83.6% ▲현대건설 95.1% ▲대우건설 91.6% ▲DL이앤씨 90.5% ▲GS건설 91.5% ▲포스코이앤씨 93.7% ▲롯데건설 93.7% ▲SK에코플랜트 91% ▲HDC현대산업개발 90.6%를 기록했다.
최근까지도 공사비 증가에 따른 원가율 상승은 면치 못하는 모습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말 원가율이 100%를 기록했으며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은 3개년 연속 원가율이 올랐다.
현대건설은 2021년 90% 원가율을 기록한 후 2022년 92.9%, 2023년 94.3%의 원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까지 95.1%였던 원가율은 지난해 말 기준 100%까지 치솟았다. 이에 현대건설은 지난해 23년만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대우건설도 지난 2022년 87.9%였던 원가율이 2023년 89.6%로 올랐으며 지난해 원가율은 91.2%를 보였다. 롯데건설 원가율도 2022년 86.8%에서 2023년 91.6%로 확대된 후 지난해 3분기 93.75%를 기록했다.
반면 원가율 관리에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 곳도 있다. GS건설은 지난해 91% 원가율 기록했는데 전년도(98%) 대비 크게 개선된 수치다. DL이앤씨 또한 지난해 연결기준 88.2% 원가율을 기록하며 2022년 4분기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90% 이상을 기록해오던 원가율 개선에 성공했다.
업계는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는 인건비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가격 변동 가능성이 있는 자재비와 운반비 등이 획기적으로 낮아지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또 원가율이 영업이익 등 경영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수익지표 개선에 집중하는 게 먼저라고 보고 있다.
건설사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 실적에서 그나마 개선, 또는 유지가 가능했던 곳은 주택사업에서 원가율 관리 효과를 본 경우가 많다”며 “일부 건설공사비 지수나 원자재 가격, 금리 등 안정을 이유로 올해 수익성 개선이 가능하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지만 이미 진행 중인 현장은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신규 사업에 나설 때도 수익성과 사업성을 따지는 기조는 올해도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 LH, 13일 주택매입 사업설명회 개최…올해 5만호 신축매입
- 이지스자산운용·국민연금, ‘마곡 랜드마크’ 원그로브 운용 착수
- 대우건설, CDP 기후변화대응 최고등급 ‘리더십 A‘ 획득
- "로또 청약만 잘 된다"…청약 양극화 심화
- 4대 금융, ‘미래 동력’ 비이자이익 희비 쌍곡선
- 포스코이앤씨, 1.3조 성남 은행주공 재건축 시공사 선정
- 롯데건설, 황혼육아 담은 '엄마의 시간' 300만 조회수 돌파
- 현대건설, 3억8,900만 달러 사우디 송전선로 사업 수주
- 삼성물산 ‘스마트 말뚝 공법’ 개발…리모델링 품질 높인다
- 프런티어마루,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 완판
- 현대건설, 뉴질랜드 주택 개발 사업 업무협약
- 현대건설, 아시아 최대 디자인 어워드 4년 연속 수상
- DL이앤씨 ‘연희2구역 공공재개발’ 수주
- DL이앤씨, 삼성 홍실아파트 재건축 ‘아크로 삼성’ 준공
- GS건설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