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1일부터 총파업으로 확대…성과급 규모 이견 '원인'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현대차그룹의 핵심 부품 계열사인 현대트랜시스 노조가 한 달 가까이 파업을 이어가면서 노사 모두 피해가 커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트랜시스는 지난 6월부터 진행한 사측과의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에서 입장차를 못 좁히자 지난달 초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지난달 8일 충남 서산 지곡공장 부분파업 이후 11일부터는 총파업으로 확대됐다.
노사 양측이 대립하는 건 성과급 규모 때문이다. 노조는 지난해 연간 매출액(약 11조7,000억원)의 2%(약 2,340억원)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노조가 제시한 성과급 규모가 지난해 영업이익(1169억원)의 2배에 달할 정도로 과도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현대트랜시스 생산 차질 규모와 노조원의 임금 손실 규모도 커지고 있다.
현대트랜시스는 연간 약 400만개의 자동변속기 등 파워트레인 부품을 완성차 업체에 공급한다. 한 달 가까운 파업으로 부품 수십만개의 생산이 제때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파업이 지속되면 현대트랜시스 부품을 거의 독점으로 공급받는 현대차·기아의 생산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한 파업에 참여한 생산직 노동자들은 사측의 ‘무임금 무노동’ 원칙에 따라 1인당 한 달에 약 500만∼600만원의 임금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44조 제1항에 따르면 "사용자는 쟁의행위에 참가하여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근로자에 대하여는 그 기간 중의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