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민석 SK온 CCO. ⓒSK온
▲성민석 SK온 CCO. ⓒSK온

2026년 가동 목표, 加정부 6,400억원 지원…3사 1조2,000억원 투자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배터리 제조기업 SK온이 완성차 기업 포드, 양극재 생산기업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캐나다에 배터리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다. 

SK온·포드·에코프로비엠 3사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백주 베캉쿠아시 소재 호텔에서 한국-캐나다 정부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극재 공장 건립을 공식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성민석 SK온 최고사업책임자(CCO), 리사 드레이크, 포드 전기차 산업화 부사장, 주재환 에코프로비엠 대표이사 등 3사 관계자를 포함해 150명이 참석했다. 캐나다 정부 측 관계자로는 프랑수아 필립 샴페인 혁신과학경제개발부 장관과 프랑수아 르고 퀘벡주 총리가 배석했다. 한국 정부 대표로는 임웅순 캐나다 주재 한국대사가 참여했다. 

3사는 베캉쿠아시 산업단지 내 27만8,000㎡(8만4,000평) 부지에 총 12억 캐나다달러(1조2,000억원)를 투자해 합작 공장을 세운다. 에코프로비엠이 지난 2월 설립한 현지 법인 ‘에코프로 캠 캐나다’가 공장을 운영하고 SK온과 포드는 지분을 투자한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퀘벡 주정부도 양극재 공장 건설에 6억4,400만 캐나다 달러(6,400억원) 규모의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캐나다 정부는 이번 투자로 자국 친환경 산업 육성과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간 4만5,000톤을 생산하게 될 합작공장은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한다. 3사는 지난해 7월 양극재 생산시설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하고 공장 건립을 위한 제반 사항을 협의해왔다. 

▲SK온, 포드, 에코프로비엠 3사가 캐나다 정부 지원을 받아 퀘벡주 베캉쿠아시에 양극재 공장을 건립한다. 관계자들이 첫 삽을 뜨고 있다. ⓒSK온
▲SK온, 포드, 에코프로비엠 3사가 캐나다 정부 지원을 받아 퀘벡주 베캉쿠아시에 양극재 공장을 건립한다. 관계자들이 첫 삽을 뜨고 있다. ⓒSK온

3사는 합작공장을 통해 북미에서 소재(양극재)-부품(배터리)-완제품(전기차)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배터리 핵심 소재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3사는 이미 구축한 협업 라인을 통해 에코프로비엠이 공급하는 양극재로, SK온이 NCM9 배터리를 만든 후, 포드가 이를 대형 전기 픽업트럭(F-150) 라이트닝에 장착하고 있다. 

SK온은 그동안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을 위해 북미 현지 광물 개발회사인 우르빅스, 웨스트워터 리소스와 음극재 공동개발협약을 체결했다. 캐나다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맺고 있어 캐나다에서 생산한 양극재의 경우 IRA 핵심 광물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성민석 SK온 CCO는 “합작공장을 통해 3사는 북미에서 안정적인 배터리 핵심 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게 됐다”며 “3사는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전동화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재환 에코프로비엠 대표이사도 “에코프로비엠은 헝가리에 이어 캐나다에 공장을 건설함으로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첨단 양극소재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며 “캐나다와 퀘벡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현지 채용 등 지역 경제 발전에도 공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SK온은 현재 북미에서 배터리 공장 두 곳을 운영중이다. 완성차 파트너사와 함께 세운 합작법인을 통해 총 네 곳의 공장을 증설할 계획이다. 공장 완공 후 SK온의 북미 연간 배터리 생산 규모는 전기차 170만대 이상에 공급 가능한 180GWh를 넘어선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