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시 상습 정체구간 적용 결과 차량통행시간 13% 단축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통신 위치데이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실제 교통신호 체계에 적용하면 차량 통행시간과 탄소배출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AI기반 위치데이터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에서 추출된 교통데이터로 교통신호 최적화 솔루션 티플로(T.Flow)을 개발하고 화성시 상습 정체구간에 적용해 차량 통행시간을 단축시키는 성과를 거뒀다고 26일 밝혔다.
리트머스(LITMUS)는 통신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동 상태와 수단 등 위치 지능형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교통신호를 최적화해주는 티플로는 위치기반 이동통신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되는 교차로 방향별 교통량 정보를 이용해 교통신호를 분석하고 최적의 신호체계를 제공한다.
SKT는 경기 화성시, 화성동탄경찰서, 화성서부경찰서, 도로교통공단 등과 협력해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상습 정체구간인 교차로 15곳 구간에 신호체계 개선안을 만들어 교통개선 효과를 시험했다. 시험 결과 실제 차량 통행시간이 13% 단축되는 효과를 거뒀다고 SKT는 설명했다.
티플로를 실제 적용한 도로는 화성시 삼천병마로 자안입구 삼거리에서 해광금속 사거리까지 5.4㎞ 구간이다. 이 곳은 일 평균 교통량이 5만3,000대가 넘는 상습 정체지역이다. SKT는 AI기술을 활용해 시간대별 교통량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교통신호 주기를 산출했다. 산출된 교통신호는 주기 적용 전후 통행시간이 11분30초에서 9분50초로 1분40초(13%) 줄었다.
이는 연간 12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52톤의 탄소배출량을 절감하는 효과다. 앞으로 티플로가 화성시 전역에 확대 적용되면 연간 520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2,200톤의 탄소배출량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SKT는 강조했다.
신용식 SKT 커넥티비티 CO장은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전국 교통혼잡비용이 6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앞선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 활용해 날로 심각해지는 도시 교통문제 해결에 앞장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T는 국토교통부가 202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신호운영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T는 도시 전역의 교통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교통 신호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지속 업그레이드 해 나갈 예정이다. 스마트 신호운영 사업은 교통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호를 제어해 차량 흐름을 원활히 하고 소방차 등 긴급차량 통행시 우선신호를 부여하는 등 스마트 교통신호 운영체계를 도입하는 사업이다.
- SKT-이노뎁, AI기반 차세대 영상관제 솔루션 공개
- SKT, AI로 보이스피싱 피해고객 안전 지킨다
- SKT, 이동통신 모세혈관 ‘프론트홀’ 파장확대 기술개발
- SKT, 공공기관 RCS 공익메시지 발송 캠페인…61톤 탄소절감
- SKT-도이치텔레콤-이앤-싱텔,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출범
- SK텔레콤, 가족 로밍 이용자 출시 한달만에 7만명 넘어
- SKT, 대한체육회 공식 후원한다…아시안게임 응원 캠페인 추진
- SKT, 부산세계장애인대회에서 ‘배리어프리 AI’ 공개
- SKT-美오픈AI, 서울서 글로벌 AI 해커톤 개최
- SKT, AI 문자 커머스 ‘티딜’ 입점 중소상공인 2,200개 상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