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서울 일부 지역의 평균 전세가가 최고점 보다 20% 가량 하락한 곳이 나오는 등 역전세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2일 부동산R114가 서울 가구당 평균 전세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평균 전세가는 6억513만원으로, 2년 전 같은달(6억5,777만원) 보다 5,264만원(-8%) 가량 줄었다. 전세가가 최고점을 찍은 지난해 2월(6억9,139만원)과 비교하면 8,262만원(-12.84%)이 하락한 것이다.

서울 평균 전세가는 지난해 2월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 초와 비교해도 3,000여만원 가까이 내렸다. 이에 하반기 중 평균가는 6억원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추산된다.

하락 폭이 가장 큰 곳은 송파구다. 송파구의 6월 가구당 평균 전세가는 7억752만원으로, 2년 전의 9억3,221만원보다 1억6,169만원이 빠져 17.3%의 하락률을 기록했는데 최고점(9억5,800만원)과 비교하면 하락액이 1억8,748만원(-19.57%)에 이른다.

강동구도 2년 전보다 13.23% 내렸고 지난해 2월보다는 16.47% 줄었다. 관악구와 중구도 현재 가격이 최고가 대비 각각 17.08%와 15.81% 내려 송파·강동구와 나란히 15% 이상 하락률을 보였다.

송파·강동구의 전세가 하락 폭이 큰 것은 2020년 7월 '임대차 2법' 시행으로 전세가가 과열 양상을 나타내며 다른 지역보다 높게 올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악구와 중구의 경우 당시 실수요자가 중저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풍선효과처럼 가격이 오르는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은평구는 지난달 전세가격이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344만원이 올랐다. 중랑구도 28만원 상승했다. 최고점 대비 은평구와 중랑구 모두 5% 미만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연말까지 전세시장의 수급 상황이 바뀔만한 별다른 요인이 없기 때문에 전세가 하락 폭은 더 커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