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이정우 기자] 지난해 외지인(서울 외 지역 거주자) 5명 중 1명은 동작구, 영등포구, 서초구의 아파트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 아파트값은 일부 상승하거나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낮아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14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총 3,425건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동작구가 244건, 영등포구 243건, 서초구 222건 등의 순으로 전체 거래량의 20.70%를 차지했다.
외지인들의 특성상 실거주 목적보다 투자의 비중이 높다는 측면을 고려하면 이들 지역에 외지인 투자가 집중된 이유는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데다 도심 접근성이 좋고, 재개발·재건축 등 지역적인 개발 가능성도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은 교통여건, 교육환경, 직주근접, 생활 인프라, 적정 매매가, 개발호재 등 다양한 요인들이 반영된다"며 "동작구, 영등포구, 서초구는 재개발·재건축 등의 정비사업으로 지역적인 발전 가능성이 높아 실거주와 투자 두 가지 수요를 흡수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아파트값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전체 아파트값은 전년대비 3.19%가 떨어진 반면, 동작구는 1.56%, 영등포구는 1.57% 등으로 하락폭이 낮았으며 서초구는 되레 0.22% 상승했다. 분양시장에서도 지난해 2월 분양한 영등포구 영등포동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영등포’가 1순위 평균 199.7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상반기 이들 지역의 분양도 예정돼 있다.
GS건설은 이달 영등포구 양평동에 ‘영등포자이 디그니티’를 선보인다. 영등포자이 디그니티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4개 동 총 707가구로 전용면적 59~84㎡ 185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동작구 상도동 상도11구역에서는 대우건설이 ‘상도푸르지오 클라베뉴’를 오는 5월 선보일 예정이다. 시행사가 부지를 모두 매입해 재개발하는 방식으로 전용면적 59~84㎡ 771가구를 모두 분양할 예정이다.
서초구에서는 삼성물산이 방배6구역 재건축으로 총 1,097가구 중 전용면적 59~84㎡ 465가구를 상반기 중 내놓을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