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종합상황실 운영·SKT 특별소통대책 시행·KT 네트워크 특별감시
[SR타임스 이행종 기자]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를 앞두고 통신 비상 태세를 갖췄다.
LG유플러스는 오는 2월 6일부터 14일까지 설 연휴를 맞아 급증하는 이동통신 통화량 및 트래픽 수용을 위해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연휴 특별 소통 대책'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기간 동안 LG유플러스는 설 네트워크 특별 소통을 위한 비상체계에 들어가고, 고객에게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르는 비상 상황에도 긴급 대응할 수 있도록 상암 사옥에 24시간 가동되는 종합상황실을 개소한다.
특히 설 당일 고속도로·국도 등 정체구간을 중심으로 평시 대비 124% 이상 트래픽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해당 지역의 시스템 용량을 평시 대비 최대 2~3배 추가 증설해 트래픽 분산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고속도로 나들목, 분기점 및 주요 휴게소 등 상습 병목 정체 구간 위주로 이동기지국을 운영한다.
이에 앞서 LG유플러스는 매년 반복되는 명절 통화량 및 데이터 사용량 추이를 분석해 주요 고속도로 요금소 및 휴게소, 상습 정체구간을 비롯해 KTX 역사와 터미널, 공항 등 인파가 밀집되는 장소를 위주로 기지국 추가 설치 및 네트워크 최적화 작업을 완료했다.
앞서 SK텔레콤도 오는 5∼10일 특별소통 상황실을 운영해 트래픽 급증이 예상되는 전국 고속도로, 대형마트 등 7200여 곳의 트래픽을 특별관리하고, 총 2천700여명의 인원을 비상근무에 투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 명절 특별 소통대책 시행 계획을 내놨다.
SK텔레콤은 또 연휴기간 T맵 사용량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비해 용량을 증설하고, 상습 병목 정체 구간 위주로 이동기지국을 운영키로 했다.
KT도 4일부터 14일까지 총 11일간을 네트워크 특별 감시 기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하루 평균 300명의 인원을 투입해 실시간으로 트래픽을 감시하는 한편 과부하 발생 시 단계별로 제어하는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KT는 아울러 연휴 기간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공격에 대비해 웹 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새해 인사나 택배를 가장한 스미싱 문자가 대량 유포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미싱 문자 감시·차단 시스템도 24시간 가동하기로 했다.
이행종 기자
lhj@srtimes.kr
